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웃도어 웨어 평가기준 및 구매실태

A study on the Outdoor Wear Evaluation Criteria and Purchase Practices According to Fashion Lifestyle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웃도어 웨어의 평가기준과 구매실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부산시내에 거주하는 20~30대 남녀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 중 총 26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SPSS 17.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군집분석, 일원분산분석(ANOVA), Duncan-test, χ2-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라이프스타일은 패션관심추구, 패션과시추구, 브랜드추구, 가격추구, 실용추구, 개성추구의 6개 차원으로 밝혀졌으며, 과시/브랜드추구집단, 패션관심/개성추구집단, 실용추구집단의 3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웃도어 웨어 평가기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아웃도어 웨어 평가기준은 기능성, 유행성, 브랜드 지향성, 경제성의 4개의 차원으로 밝혀졌으며, 유행성과 브랜드 지향성 요인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과시/브랜드추구집단, 패션관심/개성추구집단은 아웃도어 웨어 구매 시 평가기준으로 유행성을 가장 중요시하였으며, 과시/브랜드추구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브랜드 지향성을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웃도어 웨어 구매실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구매 장소에서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과시/브랜드추구집단과 패션관심/개성추구집단은 주로 백화점에서 아웃도어 웨어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용추구집단은 상설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의 20~30대 남녀소비자들은 등산복과 일상복으로 착용하기 위해 아웃도어 웨어를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매빈도는 1년에 1~2회, 구매비용은 1년에 60만원 미만, 구매 시 이용하는 정보원으로는 친구·직장동료로부터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브랜드는 노스페이스, 코오롱스포츠, K2, 네파, 라푸마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outdoor wear evaluation criteria and purchase practices according to fashion lifestyle. For data collection,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 by 267 male and female consumers aged 20s" to 30s" living in Bus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factor analysis using SPSS 17.0 for Windows, the factor analysis using Varimax,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Duncan test, and χ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shion lifestyle includes six different pursuits; interest in fashion, self-display, brands, price, practical usages, and individuality. Those pursuits tend to divide the respondents into three different groups; the first group with self-display and brand pursuits, the second group with interest and individuality pursuits, and the third group with a practical usage pursuit. Second, outdoor wear evaluation criteria include four influential factors; functionality, fashionability, brand orientation, and economy. A noticeable difference has been shown among the three groups in evaluating fashionability and brand orientation. When making a purchase, the first and second groups considered fashionability most, and the first group particularly valued brand orientation more than the other groups. Third, another finding from analyzing different outdoor wear purchase practices suggests that there are important differences in where the groups buy outdoor wear. The first and second groups go to department stores, and the third group to outlets. Overall, respondents wear the outdoor clothing when hiking or being casual, shop once or twice a year, spending less than 600,000 won, and ask opinions mostly of their friends or co-workers regarding the purchase. The brands they mostly buy are, in order of preference, North Face, Kolonsports, K2, Nepa, Lafuma, and so on.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