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한국 장로교 분열의 시발점이 되었던 조선신학교 51명 학생이 제출한 진정서에서 그들이 교회의 권위인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근거로 성경의 권위를 논증한 것과 칼빈이 카스텔리오와 논쟁에서 정경으로서 아가서의 권위를 교회의 합의인 정경목록에 근거하여 옹호한 것을 출발점으로 삼았다. 이 방법은 교회의 합의에 토대를 둔 결정이야말로 인간적인 결정이라는 이유로 거부하고, 오히려 성령의 확증과 성경의 신적 본질인 자증성의 결합을 통한 확증에 강조점을 두고 있는 개혁교회의 전통과 모순되는 것처럼 보인다. 바로 이 모순점을 본 글의 주제로 삼아 칼빈이 교회의 권위로서 교회의 합의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칼빈과 로마 카톨릭교회와의 논쟁에서 칼빈이 교회의 합의가 지닌 권위를 어떻게 정당화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칼빈과 로마 카톨릭교회와의 경계의 지점을 분명하게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로마 카톨릭교회는 교회의 합의와 성령을 연결시켜 교회의 권위와 무오의 토대를 삼은 반면 칼빈은 ‘신적 교리의 진리’에 근거를 둔 합의를 교회의 본질과 연결시켜 서술함으로써 분명한 경계 짓기를 시도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이 경계에서 칼빈은 교회의 합의의 목적으로서 그리스도론적 일치와 믿음의 일치를 강조하고 교회 합의를 이끌어내는 과정에서 그가 해석자의 겸손과 공동체의 화합을 우선시하는 성경해석을 중요시하고 있음을 드러내었다. 이렇게 형성된 교회의 합의를 보존하고 유지하는 것이 교회의 임무로 그 임무 자체에 권위가 있으며 이는 교회의 사역자를 통해서 그리고 공의회를 통해서 전수되고 있음을 서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권위는 칼빈에게 있어서 절대적 권위가 아니라 성경해석에 토대를 둔 성령의 증거인 개인의 동의를 요구하는 상대적 권위임을 밝힘으로써 칼빈이 해석학적 순환을 진지하게 그리고 적극적으로 수용한 상태에서 교회의 권위가 그 힘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This paper takes as a starting point (1) an argument in the petition of 51 students at the Josoen-theological Seminary (1947), which caused the separa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and (2) Calvin"s defence of the canonicity of song of Solomon in his discussion with Castellio (1544). The 51 students grounded their arguments for the authority of the church in the Westminster Confession; likewise, Calvin rooted his assertion of the canonicity of "Song of Solomon" in the canon-list as a consensus of the church. This method appears to contradict the Reformed tradition in that the Reformed church has denied the consensus of the church because it is a human decision. Instead, the Reformed church has stressed both the fallibility of a human decision an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estimony of the Holy Spirit and the divine evidence of the Bible. I make this contradiction the subject of this paper and described how Calvin articulated the consensus of the church. I try to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Roman Catholic-church and Calvin by showing how the authority of the church may be valid. Also, I explain that a for the Roman Catholic-church the consensus of the Church is related to the Holy Spirit, which guarantees the authority and infallibility of the church; while for Calvin a consensus, which is based on divine truth, is related to the essence of the church. Here I clarify that for Calvin the unity of the church is based on christology and faith. In the process of making a harmonious consensus, Calvin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humility of both the interpreter and biblical interpretation. Handing down the so formed agreement of the church is the duty of the church, the minister and council. This work guarantees the authority of the agreement, only if they carry out this duty faithfully and reliably. Therefore this authority of the church is not absolute but definite. This authority demands individual acceptance, which derives from biblical interpretation. I show that for Calvin the authority of church is articulated well when the church admits sincere and active engagement in the hermeneutical circle.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