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성공무원의 업무수행능력과 잠재적 생산성이 남성과 동일하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전제로 받아들이고, 고위직 여성공무원 비율이 낮은 이유가 입직, 승진, 보직배치, 교육 중 승진요인에 있다는 가설을 검증해보고 공무원 인식과 태도 비교조사를 통해 여성공무원 승진을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여성공무원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해 본 결과 첫째, 승진에서의 여성차별원인 중 핵심부서 근무능력이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지목되었다. 둘째, 여성승진저해요인을 제거하기 위해 단체장의 의지가 가장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인사담당공무원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해 본 결과 첫째, 여성승진을 저해하는 주요요인은 여성공무원의 소극적인 근무태도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여성승진저해요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단체장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는 지적을 동일하게 하고 있었다. 공무원 인식과 태도를 비교분석해 본 결과 여성공무원과 인사담당 공무원의 인식이 다른 부분은 여성들의 복무태도가 소극적이기 때문에 승진이 저해되는 것인지, 아니면 성차별적 사회문화 때문에 여성이 승진에서 차별받는 것인지에 대한 인식부문이었다. 양 집단의 인식이 같은 부분은 여성승진저해요인으로 (순위는 다르지만) 핵심부서근무경력이 없기 때문이라는 응답을 비슷한 비율로 하고 있다는 점이고, 단체장 의지가 여성승진저해요인을 제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지적이었다. 제도적 대안으로는 승진목표제에 대한 지지의사를 양 집단이 동일하게 보이고 있었다.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첫째, 여성공무원 대표성 확보를 위해 정부의 강력한 집행의지가 요구되며 둘째, 여성승진저해요인을 제거하기 위해 여성공무원 승진보직경로가 우선적으로 배치되어야 하고 셋째, 기관장, 단체장 등 조직의 최고인사결정권자가 가진 여성대표성에 대한 인식이 체계적으로 검증되어야 하며 넷째, 여성공무원의 소극적 복무태도에 대한 실천적 개선과 함께 성별 복무태도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A Case Study on the Barriers and Obstacles of Promotion of Women Public Officials--Comparison of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Public Personnel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