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럽의 두 항만도시에 대한 친수공간 개발사업의 차이점들을 지역통합모델 관점에서 분석하여 도시특성에 맞는 바람직한 친수공간 개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르와브르시(프랑스)와 사우스햄턴(영국)의 다른 친수공간 개발 패턴과 공간적 통합과정 설명을 통해 대규모 친수공간 개발이 임박한 우리나라 부산항 친수공간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주요 제안내용은 항만과 도시기능의 충돌을 고려하여 두 공간에 대한 충분한 고민과 연구가 필요하며, 기능적 통합, 공간적 통합, 역사적 통합, 경제적 통합 계획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이는 새로운 친수공간과 기존 도시 혹은 항만공간과의 충돌을 방지하여 항만과 도시, 구시가지와 신시가지의 유기적 연결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항만도시별 특성에 맞는 친수공간 개발과 사업성 위주의 난개발 방지 등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특히 부산의 경우 현재 항만기능과 친수공간 개발로 생겨날 도시기능 간의 통합계획을 통하여 부산의 매력도, 경제성 등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propose common direction of waterfront redevelopment of Korea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by interpreting the relation between waterfront area and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ort city in European cities. It argues that the more a redevelopment project is integrated to the structure of the city, the more it becomes successful in terms of attractiveness for both citizens and businesses. The findings are given to many implication for Busan waterfront redevelopment. The direction of waterfront redevelopment is believed to be induced from the internal and external forces that are coincidentally in juncture at the same time. The drastic changes in the regional environment have exerted impacts on specific port cities, causing them to evolve in a specific way which is different from their counterparts in other regions of the world.In order to respond to the changes, new policies are implemented and the city and port become more cohesive and connect very close to each other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Busan waterfront redevelopment does not copy the other cases of waterfront redevelopment in any countries. Its waterfront redevelopment has to understand its situation in terms of port competition. It is also supposed to consider connection from the city needs and structure.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