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생애주기 및 직업적 측면에서 건강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중장년 영세자영업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제4차 근로환경조사자료(2014년)를 활용하여, 5인 미만 사업장을 운영하는 45~64세의 자영업자5,245명을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건강은 주관적 건강으로 측정하였고, 영향요인으로는 개인 및 가구 요인과 근로관련 요인을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개인 및 가구 요인중에서는 성별, 연령, 월평균소득, 교육수준, 가족구조, 정서상태가, 근로관련 요인 가운데에서는 주중근무시간, 작업위험요인, 산업유형, 업무 스트레스, 근로환경만족이 다른 설명변수들과의 상호통제 속에서도 중장년 영세자영업자의 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장년 영세자영업자의 건강 실태와 영향요인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중장년영세자영업자의 건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천적․학문적 과제를 논의하였다는 점에서도 연구의 의미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to associate with health of the micro scale business owner at middle age. To do so, the 4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2014) performed by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was used to apply multiple regression and analyzed the 5,245 subjects in the age of 45 to 64. As a dependent variable, subjective health was used. Personal/familial factors and work related factors were includ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analytical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gender, age, monthly wage, education level, family structure, emotional status, working hour, job risk factor, industrial type, job stress, and satisfaction of working environmen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health of the micro scale business owner at middle age. Based on the resul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