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목’을 지칭하는 어휘 중 사용빈도가 비교적 높은 핵심단어 ‘목’과 ‘颈/ 项/ 脖’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로 이루어진 단일어와 복합어에서 신체어가 나타내는 확장 의미를 대조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고는 신체어 ‘목’과 ‘颈 /项 /脖’의 사전에서의 기술 양상을 토대로 인지의미론과 대조언어학의 이론을 기반으로 이들의 시맨틱 익스트랙션(semantic extraction)을 크게 ‘구조·모양면’과 ‘기능면’의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대조 분석한다. 그중 ‘구조·모양면’은 신체부위 ‘목’ 자체의 모양과 구성, 그리고 사람과 동물의 몸에서 차지하는 위치적 특성을 말하는데 신체어 ‘목’의 ‘형태, 구성, 위치’적 특성을 포함하여 가리킨다. ‘기능면’은 신체부위 ‘목’ 자체의 쓰임 기능과 낱말 ‘목’의 의미기능, 문법화(grammaticalization) 기능을 포함하여 일컫는 말이다. 이러한 대조 연구 분석을 통하여 한·중 ‘목’을 지칭하는 신체어 ‘목, 颈/ 项/ 脖‘이 확장 의미의 유래, 흐름과 확장 방향, 인지과정에서 보이는 차이점을 부각하고 공통점을 도출해냄으로써, 외국어로서의 한·중 언어 및 신체어 교육, 그리고 한·중 통번역 연구 분야에 자그마한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Revolving around the “목” and “颈、项、脖” which had been frequently used to describe "neck" in Korean and Chinese linguistics,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he semantic image reflected by their single-morpheme words and compound words. Furthermore, based on the theories of contrastive and cognitive linguistics,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목” and “颈、项、脖” in the dictionary from the perspective of structural form and functional form respectively. Among which, structural form is the synthesis of shape, structure and position of face in human body; functional form includes the use function, semantic function and grammaticalization. Through this comparative research, this study discussed the origin, process and future direction of body words referring to "neck" in Korean and Chinese linguistics, and compare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hopes of providing insight into the field of Korean-Chinese language education, Korean-Chinese body word teaching, and Korean-Chinese translation.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