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의 목표는, 한국어에 고유하게 나타나는 신조어 “썸타다”에 대한 기존의 두 경쟁하는 개념 분석에 대한 이론인 인식적 불확실성 이론과 의지적 불확정성 이론을 고려하고, 그 중 전자를 설득력 있게 옹호하여, 한국어 철학과 한국학에 일정 부분 기여하는 것에 있다. 최성호는 그의 최근 논문 「썸타기와 어장관리에 대한 철학적 고찰」에서 썸타기에 대한 나의 인식적 불확실성 접근법을 비판하고, 썸타기는 의지적 불확정성 개념을 통해 설명되는 것이라 논증 한 바 있다. 본고에서, 나는 우선 의지적 불확정성에 대한 경험이 썸타기에 필요하지도 충분하지도 않음을 논증함으로써, 최성호의 의지적 불확정성 이론을 비판한다. 그리고 최성호의 인식적 불확실성 접근법에 대한 비판이, 궁극적으로는 나의 이론이 수정되어야 할 것을 요구하기는 하지만, 인식적 불확실성 접근법 자체를 포기하게 만드는 비판은 아니며, 적절히 수정된 썸에 대한 인식적 불확실성 이론은 여전히 썸에 대한 많은 경우들을 직관적으로 잘 설명한다는 것을 논증한다.
There are two competing theories about the conceptual analysis of the newly coined word “썸타다“: one is the epistemic uncertainty view and the other is the volitional indecisiveness view.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fend the epistemic uncertainty view and, through this defense, to contribute to the part of Korean language philosophy and Korean studies and. In his recent paper "When There Is Something between You and Me", Sungho Choi criticizes my epistemic uncertainty analysis of some썸 and argues that some썸 is rather well explained by the concept of volitional indecisiveness. In this paper, I first criticize Choi"s volitional indecisiveness theory by arguing that experiencing volitional indecisiveness is neither necessary nor sufficient for having some썸. Then I suggest the revised epistemic uncertainty theory for some썸 that is immune to Choi"s criticism.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