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휴대폰 케이스 가공업체에서 발생한 은피증 1례

A Case of Argyria from Silver in Cellular Phone Case Manufacture

  • 3
커버이미지 없음

─A Case of Argyria from Silver in Cellular Phone Case ManufactureKi-Hong Tak, Seok-Hwan Yoon, Mi-Young Lee, Dong-Hoon Shin, In-Sung Chung1)

배경: 은피증은 은의 피부 침착에 의해서 생기는 질환으로, 만성적인 노출에 의해 생기며, 치료법이 없는 영구적인 질병이다. 은의 흡입에 의한 은피증의 보고는 아주드물며, 우리나라에는 현재까지 관련 보고가 없었다. 이에 휴대폰 도장제의 은 흡입에 의한 은피증을 보고하고자한다증례: 30세 남자근로자로 5년 전부터 휴대폰 부품조립및 도장업체에서 EMI부서와 가스켓부서에서 전자기파차단제를 스프레이 도장하는 작업을 하였고, 3년 전부터서서히 발생한 얼굴과 몸의 회색 및 회청색 피부색 변화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전자기파 차단제는 은, 구리, 용제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피부 조직 검사에서 에크린 한선 기저판(basal lamina)에 미세하고 둥근 흑갈색 과립들이 관찰되어 은피증의 소견을 보였으며, 작업중 노출된은 흡입에 의한 직업성 은피증으로 진단하였다. 킬레이트치료는 도움 되지 않으며, 노출 중단 및 자외선 차단 등의 보존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고찰: 은피증은 은의 복용, 흡입, 접촉에 의해 발생한다. 본 증례에서는 은피증을 원인으로 작업시의 은 노출이외의 은 노출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직업성은피증으로 사료되며, 은의 첨가제에 의해 은피증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현재 전자기파 차단의 용도로 은과 은 화합물의 사용이 계속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적절한 치료법이 없기 때문에,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보호구 착용, 작업환경 개선, 산업안전보건교육이 필요하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