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당원병 제 Ia형의 임상상과 생옥수수 전분가루 복용이 키성장에 미치는 영향
Clinical Manifestation and Effect of Corn Starch on Height Growth in Korean Patients with 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Ia
- 대한소아내분비학회
- Annals of Pediatric Endocrinology & Metabolism
- 12(1)
-
2007.0635 - 40 (6 pages)
- 0
목 적 : 당원병 Ia형은 G6Pase의 결핍에 의한 저혈당, 간비대, 저신장, 신부전 등의 특징을 갖는 상염색체 열성 질환으로 현재까지 85개 이상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당원병 Ia형의 환아의 임상양상과 돌연변이 유전자형에 대해 알아 보고, 치료로 생옥수수 전분가루 복용이 키성장에 긍정적 영향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7년 6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의학유전학 클리닉을 방문하여 당원병 Ia형으로 진단 받은 총 24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임상 양상과 돌연변이 유전자형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생옥수수 전분가루 복용을 시작하고, 1년 이상 성장을 추적 관찰 한 13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Ht- SDS의 변화를 구하였다. 결 과 : 총 24명의 환아 중 남아 16명, 여아 8명이고, 진단 당시 나이는 6.9±6.6세였다. 가족력이 있는 환아는 총 7명(29%)이고, 진단 당시 주소는 복부팽만 및 간비대(13명), 저신장(4명), 간기능 상승(3명), 당원병 가족력의 유전상담(3명)순이었다. 진단 당시의 혈청 콜레스테롤은 209.7±69.5 mg/dL, 중성지방은 524.5±507.5 mg/dL, 요산은 7.4±2.6 mg/dL, AST는 165.5±117.7 IU/L, ALT는 113.9±78.8 IU/L, 유산은 32.4±32.8 mmol/L, 혈색소는 11.0±2.3 g/dL였다. 91.7%의 환아를 생옥수수 전분가루로 치료하였으며, 그 외 알로퓨리놀(75.0%), 철분제(20.8 %) 등이 처방되었다. 합병증은 간선종(5명), 통풍(2명), 골감소증(2명), 출혈경향(1명), 신장결석(1명)이었다. 총 21명, 42개의 대립 유전자에서 4종류의 돌연변이가 발견되었고, c.648G>T가 총 33개(78.6%)의 대립유전자에서 발견되었다. 그 외에도 p.Phe51Ser, p.Gly222Arg, p.Gly 122Asp가 발견되었고, 이 중 p.Phe51Ser은 과거에 보고 된 적이 없는 새로운 돌연변이였다. 생옥수수 전분가루 복용 후 2년 뒤의 Ht-SDS(-0.72±1.12)는 진단 당시의 Ht-SDS (-2.04±1.69)와 비교하여 유의한 호전이 있었다(P=0.036). 결 론 : 우리나라 당원병 제 Ia형 환아에서의 주된 유전적 돌연변이는 c.648G>T로, 이 돌연변이의 검사는 진단적 가치가 있다. 또한 생옥수수 전분가루가 환아의 키성장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 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Ia (GSD Ia) is an autosomal recessive disease characterized by hepatosplenomegaly, short stature, hypoglycemia, hyperuricemia and lactic academia. It is caused by mutations of glucose-6-phosphatase (G6Pase) gene located on chromosome 17q21. The study were undertaken to investigat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genotype as well 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uncooked corn starch (UCCS) on height growth of pubertal and prepubertal subjects with GSD Ia. Methods : We analyzed clinical data from 24 GSD Ia patients retrospectively by medical record review. Height standard deviation score (Ht-SDS) was calculated from 13 GSD Ia patients under age 15 treated with UCCS and followed-up over 1 year. DNA isolation, PCR reaction and DNA sequencing analysis were performed in all studied patients. Results : Hypertriglyceridemia (100%), elevated liver enzyme (85%), hyperuricemia (48%), hypercholesterolemia (45%), anemia (45%) were major laboratory findings in studied population. Four different mutations of G6Pase gene in 48 alleles were identified. C.648G>T mutation was the predominant mutation, allele frequency of which was 78.6% (33 alleles). The other mutations were p.Phe51Ser, p.Gly222Arg, p.Gly122Asp. The p.Phe51Ser was a novel mutation. Mean Ht-SDS at diagnosis and two years after UCCS treatment were -2.04±1.69 and -0.72±1.12 respectively,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36). Conclusion : The genotype of the G6Pase gene was nearly homogeneous in Korean patients with GSD Ia. Molecular analysis of the G6Pase gene will be the diagnosis of choice since the c.648G>T mutation accounts for 78.6% of mutations in Korean patients with GSD Ia. UCCS treatment has a beneficial effect on height grow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GSD Ia.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