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연쇄강간살인범을 대상으로 그들이 범한 범죄에 대하여 수사심리학적 기법인 Liverpool 기법을 적용하여 범죄프로파일링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논문으로 연구결과, 연쇄강간살인범에 대한 사건의 세부사항과 범행동기의 공통적 특징은 성인이전의 범죄전력과 성(性)범죄전력, 절도죄의 전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범행당시 심리상태가 대부분 정상적이며 범행 후 살인의사는 우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범행수법은 성(性)적요인이 절대적이며 범행 장소는 주로 실내는 빈집, 실외는 야산이나 다리 밑이 범행 장소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행 요일은 주중으로 자정부터 오전 6시 이전에 발생하며 범행도구는 단순하고 손쉬운 도구를 사용하며 범행현장의 사체는 100% 유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성과는 연쇄살인강간 범죄자에 대한 범죄의 세부사항과 공통적인 범행동기의 유형을 제시하였고, 범죄프로파일링에 대한 신뢰성 있는 타당한 지표를 개발하였으며 수사의 체계적인 분석과 과학적인 수사기술을 개발하여 범죄수사기법을 한 단계 발전시키데 어느 정도 기여 하였다.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범죄자에 대한 체계적인 범죄 전 관리시스템 구축과, 둘째, 미세증거물의 데이타 베이스화, 셋째, 공조수사체제의 확립, 넷째, 프로파일링에 대한 전문가 양성 및 전문기관 운용, 다섯째, 프로파일링에 대한 모델개발이 요구되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able to develop criminals’ common types and proper indexes, systemic analyses of investigation, and scientific investigation skills as a result of criminal profiling empirically analyzed by applying investigational-psychological methods to rapers related to serial raping crimes taken place in the country in recent years, and made some progress in developing investigation skills into a higher level. Accordingly, this study’s policy implication is as follows. First, systemic control systems about criminals should be constructed before crime. Second, systemic control about detailed evidence is needed. Third, the established mutual-assistance of investigation is needed. Fourth, cultivation of specialists in profiling and management of related professional organizations are needed. Fifth, the development of models about profiling is required.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