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공예’ 개념을 분리주의 미학의 관점에서 연구한다. ‘공예’의 경전화와 ‘예술’의 탈경전화의 이분법은 공예가 경전화를 고수한다면 미적으로 열등하며, 공예가 탈경전화를 추구한다면 그것은 더 이상 공예는 아니므로 공예는 여전히 열등하다는 딜레마로 이끈다. 필자는 이 딜레마의 해법으로 멧칼프의 분리주의를 채택한다. 모더니즘 미학의 나무를 자르는 분리주의는 거짓딜레마를 일소하는 해법이다. 멧칼프는 쓰임, 공력, 물질성, 상호참조를 ‘공예’ 정체성 확인의 필수 요소로 간주한다. 그는 공예가 예술과 존재론적으로 다르며, 미적으로 동등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공예가 애초에 제작과 향유에서 예술과는 목적, 방법, 결과가 다르기에 이들 개념을 분리한다. 또한 개별 공예와 예술 작품을 평가하기 위해 분리된 미적 평가론을 적용하므로 예술종 전체가 공예종 전체보다 미적으로 우월할 수 없다고 본다. 포스트예술의 시대에 예술, 공예, 디자인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지만, 이들은 존재론적으로 구분되고 가치론적으로는 미적 동등성을 갖는다.
In this essay, I suggest a divisionist solution for the dilemma of the crafts depending on Bruce Metcalf. He insists the use, the mastery, the materiality, the inter-reference as the factors of the identification with the crafts. He connects the canons of the crafts to the decanonized compatibly. Crafts provoke us the expanded aesthetic pleasure in the formal, the sensual, the cognitive, the moral, the political aspect, as well as the utilitarian use. Crafts are different species from fine arts. Crafts have the different history and evaluative criteria from fine arts in the divisionist aesthetics. The variability, the aesthetic contingence, the adhesion to ordinary life, and the communication is the positive aesthetic quality of the craft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