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콘텐츠적인 면에서의 근대의 재현이라는 관점에서, 2014년부터 아사히(朝日)신문에 재연재된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의 소설「마음(こころ)」을 대상으로 재연재가 초래할 사회적 이데올로기 현상을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 작업은 현재 일본사회의 우경화가 어떤 식으로 진행되고 있는가를 배경적인 지식으로 조사하는 데에서 시작하여, 본론에 들어가 먼저 아사히신문사가 왜, 이 시점에서 소세키의 수많은 작품 가운데에서 「마음」을 최초의 재연재 텍스트로 선정하였는가 하는 문제와 그에 따른 실제 독자들의 반응은 어떠하였는가를 신문이나 인터넷, 트위터와 같은 SNS를 통하여 검색한 후, 마지막으로 현재와 같은 우경화 현상 속에서 그것은 어떠한 이데올로기를 만들게 되는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아사히신문사의 「마음」의 재연재는 교과서 게재를 바탕으로 한 국민문학으로서의 성격과 「마음」의 아사히신문 연재 100주년이라는 형식적인 요인에 더하여, 신문사측이 일본사회 전체를 향하여 발신하고 싶은 진실추구라는 메시지가 포함된 의도가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리고 실제 신문독자들의 반응은 50대 이상의 연령층이 주독자층으로, 매우 유익하였다는 반응이 주류를 이루었다. 또 비교적 젊은 연령층이 중심이 된 인터넷 상의 블로그나 트위터에서는 시대의 흐름에 대한 견해와 더불어 그들 나이에 맞는 사랑과 우정, 면학의지가 내포된 소설 내용이 자주 리트위트 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소설 속의 메이지 천황의 죽음과 그에 잇따른 노기 장군의 순사는 현실을 왜곡하여 우경화라는 사회적 분위기와 결부되면서 국가주의적인 이데올로기를 생산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igate the ideological effects in Japanese society through the KOKORO written by Soseki Natsume of representative writer of Japanese Modern Literature re-serialized by the Asahishimbun in 2014. That can be thought the Asahishimbun has re-serialized the KOKORO with two reasons, one is the formal aspect that the KOKORO had serialized on their newspaper ground before 100 years, the other is the internal message of pursuit of historical truth wanting to send out toward Japanese sosiety. As a result, the Newspaper readers more than 50 middle-aged rediscovered their lives through the novel. At the same time, the Internet and twitter users posed mainly of young people read the novel in love, friendship, and study at the age of their own. But this novel simultaneously showed the continuing airing of nationalistic TV dramas and the danger of producing nationalistic ideologies in the right atmosphere of Japanese society. That is why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of Japanese modernity is here.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