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남한지역 고구려 보루 유적 편년에 대한 대안적 접근-무등리 보루 편년을 중심으로-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Chronology of Goguryeo Fortresses in South Korea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Mudeung-ri sites

  • 0
커버이미지 없음

이 논문에서는 남한지역 고구려 보루 편년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고, 편년 수립의 대안으로서 방사성탄소연대를 활용하고자 한다. 그 동안 관련 유적의 편년은 문헌에 기록된 역사적 정황을 주요근거로 삼아 보루가 사용되었으리라 추정되는 기간을 한정한 후, 토기 편년을 보조적 근거로 채택해 설명하는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어떤 보루이건 그 축조와 사용에서 폐기에 이르는 정황은 어디에도 기록되어있지 않으며, 일종의 특수한 생활 유적으로서의 고구려 보루의 편년을 위해서는 다양한 고고학적 맥락을 검토해야 한다. 나아가 토기 편년의 응용도 관련유적의 편년에서 일정한 한계를 안고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몇몇 문제는 보다 적극적인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치의 활용을 통해 보완할 필요가 있다. 방사상탄소연대 활용을 통한 유적 편년 수립을 위해서는 적절한 연구전략의 바탕 위에서 편년에 필요한 시료를 채집하여정밀도가 높은 결과를 얻어야 한다. 무등리 유적에서 얻은 방사성탄소연대에 대한 평가는 무등리 제1보루는6세기 후반부터, 제2보루는 이보다 앞선 5세기부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해준다.

Chronology of the Goguryeo fortresses in South Korea has been proposed by many mainly on the basis of historical records and pottery analysis but with dubious results. Historical records seldom provide information detailed enough to understand the life history of individual fortress sites. Reliance on the literature has more often than not been limiting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remains. Also, variabilities in the assemblage composition of the Goguryeo potteries are yet to be fully appreciated, a situation exacerbated by the complex nature of the fortress sites itself. To address these problems, we suggest more vigorous adoption of the results of radiocarbon dating. They are often shunned by researchers but reliable dates can be obtained only when sampling, dating and interpretation are made within a coherent framework of appropriate research strategy and with an adoption of high-precision dating, Analysis of radiocarbon dates from the Mudeung-ri Fortress No. 1 and No. 2 demonstrates that they prove valuable to establish chronological framework of the Guguryeo fortress sites. It appears that the Mudeung-ri Fortress No. 1 could had been occupied from the latter part of the 6th century CE while the latter could have been used from the 5th century CE.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