ㅎ말음의 변화와 어간 재구조화
The Changes of a final phoneme ‘h’ and the reconstruction of its stem
- 한민족어문학회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30(49)
-
2006.1235 - 63 (29 pages)
- 21
본 연구에서는 고대국어 자료인 향가에도 어간 말음 ㅎ를 반영하는 표기가 있음을 밝히고, 이러한 어간 말음 ㅎ의 변화가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는지 살펴보았다.향가 표기에 사용된 ‘’, ‘中’과 ‘希’, ‘ㄱ>ㅎ’ 변화형 등이 어간 말음 ㅎ를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말음 ㅎ가 후기중세국어의 체언에서 복수 어간으로 ‘/XVh-/~/XV-/’와 같은 교체를 보이다가 근대국어 이후 단일 어간 ‘/XV-/’로 어간의 재구조화가 일어남을 밝혔다. 이와 달리 용언은 단일 어간 ‘/XVh-/’에 규칙이 적용되어 체언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반면 ㅎ말음을 가지지 않았던 체언들에 모음 조사가 연결될 때 말음 ㅎ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절음화에 기인한 현실음의 반영으로 보았다.ㅎ말음은 역사적으로 소멸해 가고 있는데 고대국어부터 근대국어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소멸은 ‘ㄱ>ㅎ’의 변화가 원인이 되어 유성음 사이의 환경에서 약화 탈락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confirm the changes, that occured to Ancient Korean due to the disappearance of the final phoneme "h" and when these changes occured and why. My analysis of the above is below : 1. Through ‘肹’, ‘中’ and ‘希’, the changes of ‘ㄱ>ㅎ’ used inscription of “Hyang-ga”, I ascertain that also in ancient Korean the substantives with a final phoneme ‘h’ existed. 2. The substantives with phoneme ‘h’ had showed alternation like /XVh-/ ~/XV-/ in the latter period middle Korean but after it was unified as /XV-/ stem structure. 3. When the substantives which don"t have a final phoneme ‘h’ are connected with the vowel onset, the shown examples of the final phoneme ‘h’ is the reflection of the original pronunciation which is caused by ‘JeolEumHwa’. 4. A declinable word with a final phoneme ‘h’ which its underlying form is /XVh-/ is shown nothing to stem structur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rules it becomes other sounds. 5. With regard to the disappearance of a final ‘h’, the Final ‘h’ started to disappear during the Ancient Korean Period and continued to do so up until the Modern Korean Period. The reason of its disappearance is due to its weakening and its omiss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anges of ㄱ>ㅎ.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