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토박이말의 {어 가지고}관련 어형별 실현 양상
Actualization phase for native spoken of Seoul related with{eo gajigo}
- 한민족어문학회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0(51)
-
2007.12195 - 228 (34 pages)
- 0
본고는 앞선 연구들의 관점을 받아들이면서, 서울 토박이말의 {어 가지고} 관련 어형별 실현 양상을, 문법화 관련 가설 중 어원어 고빈도 원리 및 용언의 상관성에 대하여 살펴 보고자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지다"의 다양한 활용형 중에서 "어 가지고"와 관련 있는 일련의 것들을 유사한 것끼리 묶어 어원적 어형을 결정지었다. [가지고/ 가지구/ 가주고] [가주] [갖고/ 갖구]의 세 유형이 그것이었다. 둘째, 확정된 어원적 어형들은 어미 {어}가 결합한 뒤에도 텍스트적 높은 출현 빈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어원어의 텍스트적 고빈도 출현은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전략의 하나이면서 동시에 의미의 지속성 및 층 만들기 현상과 관계있는 결과임도 알게 해 주었다. 셋째, 어원적 어형에서 자주 나타났던 "가다, 오다" 용언도 어미 {어}가 결합한 어형에서 높은 출현 횟수를 보였다. 이는 어원적 어형과 함께 자주 나타나는 용언이 해당 문장의 표면적 구조에 일정 부분 관여함으로써 의미의 지속성 및 층 만들기 현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였다. 넷째, 문법화 과정에서 어미 {어}의 영향도 살펴 볼 수 있었다. 즉 어원어는 문법화와 관련 있는 어형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어미는 복합 동사와 사동사, 피동사, 부정형 그리고 형용사 등의 적극적 수용과 관련 의미의 지속성 및 층만들기 현상에 더 도움을 주었기 때문이다. 다섯째, 서울 토박이말의 경우, 앞선 논의인 대구 토박이말과 달리, "가지-" 어간에 어미 {고서}가 결합되어 나타나는 "가지고서" 및 "어 가지고서" 관련 어형도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법화의 지속성 및 층만들기와 관계있는 듯한 이 현상은 대구 토박이말과 서울 토박이말의 관련 자료를 많이 확보하여 비교해 보면 더 분명해지리라 생각하며 이와 관련된 기술은 후고로 미루었다.
Actualization phase for native spoken of Seoul related with {eo gajigo} Beom, Geum-He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igh Textual Frequency of Source of grammaticiz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gajigo/ gajigu], [gajugo], [gaju] and [gat"go/ ga"tgu] are the appropriate word forms among the various applicative forms of "gajida" in etymological word the of this research. The second, [gajigo/ gajigu], [gajugo], [gaju] and [gat"go/ ga"tgu] come under the etymological word, which continuously affect the word form that the {eo} connected ending was binded with, and their appearance frequency in the text is high. The third, The verbs of ‘go, come’ that appeared in the etymological word also comes forth continuously in the connecting end {eo} binding form, and the appearance frequency in the text is also high. The fourth, We observed the relationship of the connecting end {eo} under grammaticalization process. The last, in the case of the Seoul native spoken, related with the word forms of [gajigoseo] and [eo gajigoseo] that appear in the etymological word, which is estimated to be an effect of the grammaticalization..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