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論과 詩世界의 相關關係 - 星湖와 茶山의 田家詩를 中心으로 -
Interrelations between Poetics and Poetic World - Focused on Pastorals of Sung-ho and Da-san -
- 한민족어문학회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0(52)
-
2008.06179 - 214 (36 pages)
- 0
이 글은 조선 후기 근기 남인계열의 시 · 종점에 존재하고 있었던 성호와 다산의 시론과 시세계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두 인물을 논의의 대상으로 선택한 것은 이들이 지니고 있는 공통점 때문이다. 이들은 모두 당대의 주류 사상체계였던 주자학을 넘어서서 本源儒學을 추구하였고, 經世致用을 주장하며 西學思想에 영향 받은 학자였다. 이와 함께 이들은 당대 정치 · 사회의 현장에서 소외된 인물이었다. 이런 점에서 이들의 문학 속에는 이들이 당대를 살아가며 느꼈던 고뇌와 번민이 고스란히 담길 수밖에 없었고, 또 문학은 그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런 공통점을 지니고 있는 성호 이익과 다산 정약용을 대상으로, 시론과 시세계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성호와 다산의 시관은 근본적으로 일치한다. 시는 소박하고 순수한 내면의식의 표현이며, 바른 생각을 바탕으로 사회 교화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다는 점에서 성호와 다산의 詩意識은 현실적인 반응의 양상에서 뿐만 아니라 시를 바라보는 기본관점까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성호와 다산은 시의 창작에 있어서도 공통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들은 당대 유행하고 있었던 관념적이고 형식적인 학문 경향과 그에 따른 虛文假飾, 특히 科文을 중심으로 한 격식의 치중과 답습적인 문장을 철저하게 배격하였다. 이들은 개성적이고 현실적인 문장, 실질적이고 주체적인 문학의 창작을 추구하였다. 전가시를 대상으로 성호와 다산의 시세계를 살펴보면 대체로 이들의 시세계는 시론과 일치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모습은 어쩌면 전가시를 분석의 대상으로 선택했다는 것에서 당연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성호와 다산이 전가시를 창작했다는 것이나 전가시의 창작이 그들의 시세계에서 지속되고 있었다는 것은 그들의 시가 생활과 유리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이들이 스스로 주장하고 있었던 시론을 중심으로 자신들의 시세계를 이루어왔다는 것이기도 하다. 성호와 다산이 스스로의 시론에 충실했다는 것은, 그리고 그러한 창작 경향이 지속되고 있었다는 것은 이들에게 스스로를 작가로 인식하는 작가의식이 존재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성호와 다산의 시세계는 분명 우리 漢詩史에서 의미 있는 한 획이라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성호와 다산은 조선후기 근기남인 계열의 학통 안에서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밀접한 학문적 연속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런 이들의 시론과 시세계의 상관관계는, 당대 이들이 추구하고 있었던 목표로써의 문학과 창작하고 있었던 실천으로써의 문학 사이에 존재하는 일체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일체감은 당대 근기 남인 계열 문인들이 추구하였던 문학의 지향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is thesis is purposed to study interrelations between poetics and poetic world of Sung-ho and Da-san who placed on the point of beginning and ending through the stream of Keungi Namin at late Chosun dynasty. It is the reason why I choose Sung-ho and Da-san to research it that they had some points of sameness such as searching on the original confucianism over Jujahak- The main idea of Chosun-, insisting Kyungsechiyong influenced by western studies and neglecting from social and politic field. Through the points of sameness, there are full of affliction and suffering on their literatures. So I tried to study interrelations between poetics and poetic world of Sung-ho and Da-san through the points of sameness. Sung-ho"s poetics are basically agree with Da-san"s. They had same basic point of view to poetry and same reaction to the actual, so poetry should present simple and pure consciousness and help to social education in their opinion. They also rejected ideal and formal study trend of the times. They argued that literary creation had to be characteristic, materialistic and active. Their poetry world showed agreement with their poetics. Creations of pastorals through their whole lives tell us that their poetry were not separated to their living. We could know that they achieved their poetry world by the poetics. It is important points to prove they had their own senses of author that Sung-ho and Da-san maintained their own poetics and creational tendency. So Sung-ho and Da-san can be placed in important positions on the Korean history of Chinese poetry. Sung-ho and Da-san had absolute positions on a scholastic mantle of Keungi Namin at late Chosun dynasty. Their interrelations between poetics and poetic world show the existed and united feeling between literature as a purpose and practice as a creation. This united feeling also shows an literary aim of Keungi Namin at the tim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