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18세기 경교지역에서 이루어졌던 시조 향유의 일면을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8세기의 역사적 상황 속에서 중앙의 경화사족은 향촌의 사족들과는 다른 문화적 차별성과 우월성을 드러낸다. 그들은 시조(가곡)의 창작과 향유에서도 지방의 향유와는 다른 특성을 드러내고 가창공간으로서 京·郊 지역 고유의 지역성을 생성했다. 논의 과정에서는 한양과 그 교외 지역인 郊를 논의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그 속에서 살았던 경화사족들의 시가 향유의 실질적 태도와 경험을 구체적으로 탐색했다. 거주와 연관된 경강 연안의 별서들과 도성 내부의 대표적인 유락처들을 검토하고 경화사족의 시조향유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국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경화사족은 자신들이 거주하는 경저와 별서에서 실내음악회와 유사한 모임을 통해서 시조의 가창을 즐겼고, 도성 내부의 유락처에서는 가객과 금객을 동반하는 좀 더 개방적이고 규모 있는 가회를 열었다. 진지한 악률관이 지배하는 한편에서 풍류판의 歌妓들과 청중 앞에서 사대부가 스스럼없이 가곡을 부르기도 했다. 여전히 유교적이고 규범적인 노래와 성적욕망을 그대로 드러내는 노골적인 노래가 함께했다. 이러한 이질적인 장면들이 공존하는 장소가 경화의 시조 향유공간이었고, 이 과정에서 ‘경화적인 가곡’이 발견되고 ‘경화적인 음악’의 수용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pecifically and vividly explore an aspect of the enjoyment of Sijo at the Gyeong-Gyo area in the 18th century. In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18th century,the central Gyeonghwasajok nobility revealed cultural distinctions and superiority over the local nobility. They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local nobility in the creation and enjoyment of Sijo(Gagok), and generated locality inherent to the Gyeog-Gyo area as a space for singing. In the course of discussion, this paper has selected Hanyang and Gyo, one of its suburban regions, as the objects of discussion, and specifically explored the Gyeonghwasajoi nobility’s enjoyment of poetry and their actual attitudes in the area. It has also investigated cottages off the riverside of the Gyeong River and representative pleasure gardens in the capital city with respect to residence, and it has tried to grasp characteristic phases shown from the Gyeonghwasajoik nobility’s enjoyment of Sijo. The Gyeonghwasajok nobility enjoyed the singing of Sijo at meetings like indoor concerts at capital city houses and cottages where they lived, and held more uninhibited and sizable concerts at the pleasure gardens within the capital city together with singers and Korean harp players.Though the serious perspective of music prevailed, the Sadaebu nobility frankly sang songs in front of singing gisaengs and audiences in the field of entertainment. Still Confucian and normative songs coexisted with those songs that freely revealed sexual desire. It was the space of Gyeonghwa’s Sijo enjoyment where such heterogeneous scenes coexisted, and in this course,‘songs of Gyeonghwa’ was discovered and the accommodation of the ‘music of Gyeonghwa’occurred.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