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교수적 실천의 유형학 탐색: Basil Bernstein의 교육과정 사회학 관점

Exploring the typology of pedagogical practices : An application of Basil Bernstein’s sociology of curriculum

  • 8
커버이미지 없음

이 논문은 Basil Bernstein의 코드 이론을 응용하여, 교육과정, 수업, 평가에서 나타나는 교육활동 유형의 분석틀을 만들어본 것이다. 나는 Bernstein의 분류화와 프레이밍 개념을 기초로, 교육과정에서의 교과간・교과내 통합,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관계(교사-학생, 학생-학생), 평가에서의 등급화와 개방성을 중심으로, 각각의 코드에 대해 이론화하여 보았다. 이를 통해 ‘교육과정-수업-평가’를 통합적으로 이해하여 ① 교육과정의 분절성을 극복하고, ② 수업에서 협력을 증진하며, ③ 교육과정 및 수업으로부터 유리되지 않는 평가의 유형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교수적 실천의 유형학(typology)을, 교사들이 자신의 교수적 실천의 정체성을 파악해 보는 데 활용한다면, 반성적 실천의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또한 교사의 교수적 실천이 규제적 담론으로부터 재맥락화되는 과정을 분석하는 교육과정 사회학 연구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는 일제식, 획일식 교육을 탈피하여, 교실 수업을 정상화하고, 종국에는 인간의 존엄성과 사회정의에 부합하는 교육활동 유형을 실천해 나갈 것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the typology of pedagogic practices through the code theory of Basil Bernstein. Based on the concept of classification and framing, the author identified the possible combination of codes in three major areas of educational activities: curriculum (inter-disciplinary, intra-disciplinary), instruction (teacher-students, students-students) and evaluation (the degree of sorting, the openness against expected answer). In doing so, this paper suggested the way of understanding pedagogical practices as integrated ones that inhabit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Failing to do so ignores the traditional problems that led to insulation among different subject-matters, direct learning in class, and isolated assessment from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e suggested typology in this article is expected for teachers to assess their pedagogical identities and then to utilize it as a tool for reflection on teaching. Furthermore the typology of pedagogical practices also can be used in the field of sociology of curriculum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regulative discourses are recontextualized into instructional discourses in terms of reproduction, resistance, or changes. Lastly, author suggested the classroom practices that can cope with the direct and uniformed transmission and that promote social justice, equality, and human dignity.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