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양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탐색적 연구: 예비입양부모를 중심으로
An Explorativ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mily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for Adoptive Families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한국가족복지학
- 0(20)
-
2007.08361 - 398 (38 pages)
-
DOI : http://dx.doi.org/10.16975/kjfsw.2007..20.012
- 0
입양가족은 새로운 가족을 구성하는 변화과정에서 가족을 재구조화하고 새로운 유대를 형성해야 하는 재조직화 작업이 요청되며, 아동과 가족의 생애발달과정에 따라 제기되는 과업에 대처하기 위하여 가족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력 향상을 포함한 가족기능 강화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alsh가 구성한 가족 레질리언스(Family Resilience) 개념틀을 바탕으로 입양가족이 가족의 신념체계, 조직유형, 의사소통과정에서 레질리언스를 강화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입양가족 및 가족레질리언스 개념에 대한 문헌고찰을 토대로 가족의 신념체계, 조직유형, 의사소통과정을 기본틀로 하는, 주 1회, 2시간씩, 총 5회에 걸친 프로그램을 1차적으로 구성하였으며, 구성한 프로그램을 입양가족의 발달주기 중 입양전단계 가족에 속하는 예비입양부모 6인을 대상으로 실행하고, 프로그램참여자로 구성되는 포커스그룹 운영을 통해 프로그램 개발에 함의를 제공하는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포커스그룹 운영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통해 신념체계 면에서 긍정적인 힘과 시각을 갖게 되었고, 조직유형 면에서 부부간 하나되는 연결됨을 경험하였으며, 의사소통과정에서 상대방의 이야기를 잘 듣고 분명한 의사표현을 하며 상호교류가 촉진되는 변화를 경험하였고, 그 외 자신과 가족의 현재와 미래방향성을 자각하고 입양준비 동기가 촉진되는 경험을 하였으며, 특히 참여자의 변화가 배우자에게 파급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운영 면에서 제시된 질문을 통해 이야기를 구성하게 하는 접근과 다른 가족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과 가족에 대해 자각하고 지평을 확장하고 마음을 나누는 경험을 한 것이 변화과정에 주요하게 도움을 제공하였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입양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를 강화하는 사회복지실천도구를 개발하고자 시도함으로써 가족 레질리언스 개념을 구체화시키는 의의가 있으며, 입양가족과 함께 일하는 실천가들의 선택권을 넓히고 실천을 지원하며, 궁극적으로는 입양가족의 가족 레질리어스 강화에 기여하는 실천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for adoptive families for enhancing familial resilience in the familial belief system, organizational pattern, and the communication process based on the concept of "Family Resilience" by Walsh.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adoptive families and familial resilience, a five (2hours/week) session program focused on family belief system, organizational pattern, and communication process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to six pre-adoptive stage parents of the adoptive family developmental cycle. An exploratory study was performed by operating a focus group composed of the program participants to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the program development. The results of operating the focus group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ble to attain positive perspectives and strength in terms of belief system, the couple were able to experience connectedness in terms of organizational pattern, allowed the couple to experience enhancements in mutual communications by positive changes in listening and expressing with the spouses, allowed the family and the individual to become aware of the current status and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and it was repeatedly shown that the changes of the participant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spouse. The participants also claimed that the approach of constructing the narratives by questioning and the experience of gaining self awareness, expanding the horizons, and sharing their feelings with other adoptive families were essential in bringing about the changes.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the concretion of the concept of family resilience by developing a social welfare practice tool for enhancing family resilience, providing more options and practice support for the daily practitioner who work with adoptive families, and ultimately enhancing the resilience of the adoptive famil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