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993년의 텔레비전 광고와 2013년의 텔레비전 광고에 사용된 광고 언어의양상과 차이를 분석하여, 성역할, 연령 역할, 관계 역할, 사회적 지위 역할에 나타난 역할이 전통적 역할을 보여주는지 변화하였는지를 내용분석을 통해 고찰하고자 했다. tv 광고에서 화자가 사용하는 언어는 그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의 공동체적 관습, 언어의역사, 이웃 언어의 영향, 물리적 환경 등에 영향을 받는다. 이는 언어의 기능이 한 화자를 다른 화자와 그리고 이들이 살고 있는 세계와 관련을 맺게 해준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짧게 요약하자면, 최근 TV 광고에 등장한 주 화자는 자신의 전통적인 역할에 배치되는 언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20년 전에 비해 적게는 60%, 많게는 무려 3배 이상 늘었다. 전통적인 관계 역할에 배치되는 언어 사용이 가장 많이 늘었고(3.2 배),다음이 전통적인 연령 역할 배치 언어(2.7 배)> 전통적인 성 역할 배치 언어(60%)= 전통적인 사회적 지위 역할 배치 언어(60%)의 순이었다. 이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광고에서도 화자의 역할이 전통적인 모습에서 점차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advertising languages and their relationsto main narrators" traditional roles concerned with sexuality, age and social statusreflected in TV commercials in the years of 1993 and 2013. The languages of narratorsin TV commercials have been affected by a custom of community, a history of language,foreign languages and environments, since the function of language has served to linka narrator to another narrators as well as their habitats in which they co-exist. As aresult of this research, main narrators in recent TV commercials have tendency to uselanguages in contradiction to their traditional roles. The frequency of using languagesinconsistent with narrators" roles shows an increase of at least 60 percentage and atmost three times from 1993 to 2013. The significant changes as follows; the mostdrastic increase of language to a traditional relation role (3.2 times), the secondchange of language in contradiction to a traditional role of age (2.7 times), the nextincrease of language in contradiction to a traditional role of sexuality (60 %) and oflanguage in contradiction to a traditional role of social status (60%). Consequently, thisresearch indicates that narrators" roles in TV commercials have been altered inaccordance with a social change.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