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활용한 제품디자인 교육 프로세스 제안

Proposal of Product Design Education Process Using Double Diamond Model

  • 0
커버이미지 없음

Background As the role of product designs expanded, a new product design process is being proposed to educate students majoring in product desig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design paradigm. Method First, the product design process is reconstructed by integrating the design process and double diamond model. Second, after applying the reconstructed product design process to three design projects for students majoring in product design, issues are verified to complete an editing and supplementation process. Third, a 3STP methodology is proposed to effectively convey the values and contents that the tangible or intangible design outcomes according to the new product design process intends to convey to users. Results In terms of the amount of information, differences in activity fields were found in the Discover and Define stages of the double diamond model and the Planning, Research and Strategy stages of the design process. Therefore, the triple diamond model process is proposed. Furthermore, the 3STP is proposed as a methodology to categorize the values and contents to be delivered to users as design and to deliver it.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constructed the product design process through three project case studies and presented methodologies accordingly, thus holding empirical discussions.

연구배경 제품디자인의 역할이 확장됨에 따라 변화하는 디자인 패러다임에 맞춰 제품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교육하기 위한 새로운 제품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디자인 프로세스와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융합하여 제품디자인 프로세스를 재구성한다. 둘째, 재구성한 제품디자인 프로세스를 제품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한 3개의 디자인 프로젝트에 적용한 후 문제점을 찾아 수정 및 보완 과정을 거친다. 셋째, 유⋅무형의 디자인 결과물이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와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새로운 개념의 3STP 방법론을 제안한다. 연구결과 정보의 양을 기준으로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의 Discover와 Define단계 그리고 디자인 프로세스의 Planning, Research, Strategy 단계는 활동 영역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트리플 다이아몬드 모델의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더불어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와 내용을 디자인으로 유형화하여 전달하기 위해 3STP를 방법론을 제안한다. 결론 3번의 프로젝트 사례 분석을 통해 제품디자인 프로세스를 재구성하고 그에 따른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실증적으로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