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the purpose of the Joseon Dynasty’s understanding the West in 1880s, this research compares and analyzes Mangukchŏngp’yo which was published by Bakmunguk in 1886 and Yeojaechalyo in terms of the former’s background, original text and influence. Joseon Dynasty’s signing Chosun-the U.S. Friendship and Commerce Treaty in 1882 is followed by other successive treaties with the West such as the U.K. and Germany in 1880s, which led to joining into the Modern Treaty System. Therefore, it became necessary for Joseon Dynasty to break Haebangnon, which means National Security, and understand the West more concretely.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Joseon Dynasty tried to absorb the Western newest information while making Bakmunguk translate and publish The Statesman’s Year-Book in 1886, which was originally published in the U.K.. Mangukchŏngp’yo included general information about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of 49 countries including Joseon Dynasty and Qing(China), which helped Joseon’s society accept the West. As the latest Western Perception book in 1880s, Mangukchŏngp’yo influenced the publication of Yeojaechalyo, the private geography book written by Oh Hoeng-mook. In 1896, furthermore, it resulted in the publication of geography textbook which was issued by Hakbu.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for indicating the fact that Joseon Dynasty made effort into publi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West in 1880s. Besides, it is meaningful that this research confirms the fact that the original text of Mangukchŏngp’yo is The Statesman’s Year-Book, which the earlier studies have failed. Moreover, it has a value of discovering that the influence of Mangukchŏngp’yo was exerted on not only the publication of Yeojaechalyo but also geography textbook of Hakbu in the period of the Gabo Reform of 1894.
이 논문은 1880년대 조선의 서구 이해라는 목적 아래, 1886년 박문국에서 출간한 『만국정표』의 간행 배경, 原典 그리고 영향이라는 측면에서 『여재촬요』와의 비교 분석을 하였다. 1880년대 조선은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을 시작으로 이후 영국, 독일 등 서구와의 잇따른 조약 체결로 근대조약체제에 편입하였다. 따라서 조선은 海防論이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서구를 구체적으로 이해해야할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에 따라 조선에서는 박문국을 통해 1886년 영국에서 간행된 『The Statesman"s Year-Book』을 번역․간행함으로써, 당시 최신 서구 정보를 이해하려고 노력하였다. 『만국정표』는 한국, 중국과 더불어 『The Statesman"s Year-Book』에서 발췌한 49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나라의 전반적인 정보를 수록하여, 조선사회가 서구를 이해하는 데 기여하였다. 1880년대 최신 서구인식서로서 역할을 한 『만국정표』는 1893년 오횡묵의 사찬지리서인 『여재촬요』의 간행에 영향을 미쳤다. 나아가 1896년 학부에서 간행한 지리교과서로까지 발행되는 데 이르게 하였다. 이 논문은 1880년대 서구를 이해하기 위한 조선의 서적 출판 노력을 밝혔다는 데 의미를 갖는다. 더 나아가 기존연구가 밝히지 못한 『만국정표』의 원전이 『The Statesman"s Year-Book』임을 확인했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나아가『만국정표』의 일정한 영향아래 『여재촬요』가 간행되고 갑오개혁기 학부 지리교과서로까지 파급된 점을 밝힌 것 역시 이 글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