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공여자의 종류에 따른 간이식 후 감염성 합병증의 비교

Infectious Complication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according to Donor :Comparison between Orthotopic and Living Donor Transplantation

  • 0
커버이미지 없음

Background: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 has been performed more frequently to circumvent the shortage of donor organs. However, infectious complications after LDLT compared with orthotopic liver transplantation (OLT) have not been well investigated to date. Methods:We hav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all consecutive cases of liver transplantation, which had been performed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Korea, from May 1996 to August 2003. Results:Of the 284 patients enrolled, 188 (66.2%) underwent LDLT. Overall incidence of infectious complication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was 67.0% (191/284). Incidence of infections was not different between OLT group (67.7%) and LDLT group (67.0%) (P=0.9). Bacterial infections were the most common infectious complications (146 cases) followed by viral infections (32 cases), fungal infections (26 cases), and tuberculosis (4 cases). Enterococcus spp. (16.2%) were the leading pathogens followed by Staphylococcus aureus (15.1%) and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13.4 %). However, the distribution of etiologic agents was not different between OLT and LDLT group. Intra-abdominal infections (83 cases) were the most common type of infectious complications, which were more frequent in LDLT group (34.0%) than in OLT group (19.8%) (P=0.01). Conclusion:LDLT resulted in intra-abdominal infections more frequently than OLT. Enterococcus spp., especially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are emerging pathogens in patients with liver transplantation.

목 적 : 최근 간이식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생체 부분 간이식(LDLT) 시행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뇌사자 사체 전 간이식(OLT)과의 감염 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5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간이식을 시행 받은 28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88명은 LDLT를, 96명은 OLT를 시행 받았다. 간이식 후 감염증은 총 191명에서 발생하였고(67.0%) OLT 환자군과 LDLT 환자군 사이에 감염증의 발생 빈도와 원인 병원체의 빈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병원체 별로는 Enterococcus 균종(16.2%) S. aureus (15.1%),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i (13.4%)의 순서였다. 감염증의 종류는 복강 내 감염이 총 83례로 가장 많았는데, LDLT에서 OLT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발생하였다(34.0% vs 19.8%, P=0.012). 요로 감염증(11.5% vs 4.3%, P=0.022)과 침습성 아스페르길루스증(7.3% vs 1.6%, P=0.034)은 OLT을 시행한 경우에 많았다. 기타 감염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간이식 환자에서 공여자의 종류에 따른 감염의 발생빈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감염증 중 복강 내 감염은 LDLT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장구균 감염, 특히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이 간이식 후 발생하는 감염증의 중요한 원인 병원체임을 확인하였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