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다중격차지수와 한국 사회의 불평등 구조

Multi-Inequality Index and Inequality Structure of Korea

  • 0
커버이미지 없음

This study is to create multi Material Condition Index(MCI) including consumption and assets in addition to income, and draw its implications to inequality structure of Kore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At an average inequality aversion, the general mean of MCI is smaller than that of income, which means that the well-being becomes lower when considering consumption and asset in addition to income. Moreover, general mean of MCI is getting more smaller than that of income as inequality-aversion increase, which means that income is homogeneous rather than consumption and wealth within each decile. The complementarity between each sector is higher in the upper middle group of income rahter that in the lower or upper groups, which increase their economic well-being.

본 연구는 소득이라는 단일 변수 접근의 한계를 넘어서 소비와 자산까지를 포함하는 다차원적인 경제적 후생 수준 지표(MCI)를 산출하고, 이것이 한국의 불평등 구조에 대해서 가지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평균적인 불평등 수준에서, MCI의 일반평균은 소득의 일반평균보다 작다. 이는 평균적인 불평등수준에서 소득뿐만 아니라 소비와 자산까지 고려할 경우 후생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불평등 기피의 증가에 따라 MCI의 일반평균값은 소득보다도 더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분위 내에서 소득은 동질적이지만 소비와 자산은동질적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중상위층에서 영역 간 상호보완성이 강하여 이것이 사회적 후생 수준을 높이지만, 하위층과 최상층에서는 그렇지 않은것으로 나타났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