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호춘향(胡春香, 호 쑤언 흐엉)의 생애와 작품의 여성형상(女性形象)

A Study on the Vietnamese Poetess Ho Xuan Huong

  • 3
커버이미지 없음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of Ho Xuan Huong, a Vietnamese poetess who lived in the lat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ies. In her poems she preferred to create the passive female image. She pictured a woman who resigned herself to her fate. And she dared to describe the female body as a sex object at the mercy of man. She thought women"s situation is changeable depending on the men"s attitudes. She was not afraid to use popular and colourful language, rich in bold expressions and handled risky words and phrases skilfully. In her inimitable style, dotted with allusions and double entendre, she castigated the male authority in feudal society. She showed her deep affection for unhappy woman. In her unique way she lamented the passive status of woman, and raised the issues of their initiative, freedom and equality. This study has shown the need to deepen understanding Ho Xuan Huong by comparing poets of Korea and Vietnam and to pay attention to the literary history of Eastern Asian poetry.

이 논문에서 필자는 중세시기 베트남 여성시인 호춘향(胡春香, Hồ Xuân Hương, 호 쑤언 흐엉, 1773-1841)의 당률쯔놈시 작품에 나타난 여성형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논의를 통해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호춘향의 당률쯔놈시 작품에서는 남성을 그리워하고 기다 리면서 고독한 처지를 운명으로 돌리며 체념하고 있는 여성의 형상, 남 성의 뒤틀린 성적 욕망에 억압과 착취를 당하는 여성의 형상, 남성 중 심의 세계가 아무리 가혹하다고 해도 고귀한 여성성을 지키고 있겠노 라고 다짐하고 있는 여성의 형상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세 갈래의 여성형상은 남성과 대등하면서도 온전한 관계 맺음에 실패하고, 고립 되어 억압받는 피동적인 여성형상이라는 뚜렷한 공통점이 있다. 호춘향 당률쯔놈시에서는 여성의 ‘몸’이 피동적인 처지에 놓여 있는 것으로 그려지고 있는 점 또한 두드러진 특징이다. 여체(女體)는 남성 의 성적 욕망이나 시선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여체의 피동 성은 남성(군자)의 욕망과 선택의 방향을 가늠해보는 거울이다. 여체의 한없는 피동성은 남성의 욕망이 어떻게 행사되고 있는지를 역으로 알 게 해 준다. 피동적인 여성형상을 구현하되 성애(性愛)의 대상으로 설 정해서 극한에까지 밀고 가는 실험을 한 데서 호춘향의 창의성이 발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