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국문장편 고전소설 감상사전』 편찬을 위한 사례 검토 및 체제 설계

Case-Review and Design for a Reference Book for Appreciating Korean Classical Novels

  • 0
커버이미지 없음

This paper has two purposes. One is to review the reference books for appreciating Chinese classical novels, the other is to explain the design for a reference book for appreciating Korean classical novels. In spite of the remarkable results, the reference books for appreciating Chinese classical novels have such problems as:absence of the standard of selecting and classifying entries, absence of the standard of describing entries, humdrum formation, and lack of visual materials. There are five categories of entries in the reference book for appreciating Korean classical novels, five categories are character information, historical information, space and geographic information, life and culture information, and literature and authentic precedent information. We expect that this reference book produce such effect as:developing of the research infrastructure, three-dimensional reading, and educational application in Korean classical novels.

이 글의 목적은 『국문장편 고전소설 감상사전』을 편찬하기 위해 그 선행 사례로서 중국 고전소설 감상사전의 체제와 특징을 검토하고, 『국문장편 고전소설 감상사전』의 목적 및 설계의 기본적인 방향을 설명하는 데에 있다. 중국 고전소설 감상사전은 그 선구적 업적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첫째, 표제어 추출 및 분류에 있어서 명확한 기준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둘째, 표제어에 대한 내용 설명이 일정한 체계를 갖추고 이루어지지 못했다. 셋째, 지면 구성이 단조롭고 다양한 시각적 자료를 활용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있다. 필자가 속한 연구팀에서는 『국문장편 고전소설 감상사전』의 체제를 다음과 같이 설계하였다. 이 사전은 작품의 종합적 이해를 돕는 지침서이므로 작품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범주가 제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문장편 고전소설에서 추출될 수 있는 정보를 인물, 역사, 공간·지리, 생활·문화, 문학·지식 정보 등 다섯 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 인물은 가계도, 관계도, 등장인물의 성격과 역할 등을, 역사는 연표,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 등을, 공간·지리는 가옥구조, 지명, 활동공간 등을, 생활·문화는 풍속, 의례, 제도 등을, 문학·지식은 고사, 문학, 경전 등에 관한 정보를 수록한다. 『국문장편 고전소설 감상사전』의 편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문장편 고전소설 연구의 기반을 조성하고 연구를 활성화하는 것이다. 둘째, 국문장편 고전소설의 입체적 독서를 유도하고 효과적인 독서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셋째, 국문장편 고전소설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고하는 데 또 하나의 목적이 있다. 사전의 간행을 통해 분량이나 독해의 문제를 극복하고 교육현장에서 국문장편 고전소설이 효과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