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한국 고대 건국신화의 구조적 특징- 중국과 일본의 신화를 통해서본-

Features of National Foundation Myths in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with East Asian Myths

  • 3
커버이미지 없음

Features of National Foundation Myths in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with East Asian Myths / Tai-hong, Lim

중국의 황제신화, 요순신화, 하, 은, 주의 건국신화와 일본의 기기신화 등과 비교해보면, 단군신화, 동명신화, 추모신화, 주몽신화, 온조신화, 혁거세신화, 수로신화 등 우리나라 건국신화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1) 이야기가 시작되는 장소가 대개 다른 외부의 ‘국가’다. 그 ‘국가’들은 북쪽에 있으며 문화가 먼저 발달된 선진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건국자들은 대개, 문화가 발달된 나라에서 태어나 성장한 뒤, 그곳을 벗어나 남쪽으로 내려가 새로운 나라를 세운다는 것이 특징이다.2) 신화로 각색된 우리나라 고대 건국자들의 조상은 대개 하늘에 있는 최고신, 즉 천신(天神)과 관련되어 있다.3) 중국이나 일본의 신화에 비하여, 곰, 호랑이, 자라, 거북이 등 동물들이 이야기의 중요한 대목에서 등장한다. 특히 건국세력에게 적극적이고 결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4) 한국 건국신화는 건국세력이 이동하는 모습이 중요하게 부각되어 있다. 하늘에서 지상으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강을 건너, 역동적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특징적이다. 5) 한국의 건국 신화들은 건국자의 통치행위에 관해 서술이 많지 않다. 중국의 사기나 일본의 일본서기가 건국시조들의 통치에 관한 신화적인 서술을 많이 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6) 우리나라 건국 신화는, 거의 모두 어디에 어떤 이름의 국가를 세웠는가 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건국신화이기에 당연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내용이 애매하게 처리된 중국이나 일본의 신화와 비교해보면 매우 독특하다.7) 타계(他界)에 갔다 오는 이야기, 혹은 하늘에 오르내리는 이야기가 매우 드물다. 샤먼에게 빙령의 체험이 많고, 탈혼의 체험이 거의 나타나지 않은 우리나라 신화에서는 사람이 천상이나 타계를 간다고 하는 것은 대부분 ‘죽음’을 의미한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