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적 특성에 따른 상징조형물의 접근과 해석 - 지역이미지를 나타내는 유형적, 무형적 상징조형물을 중심으로 -
An Approach and Analysis of a Symbolic Sculpture - According to a Regional Trait -
-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 9(16)
-
2008.0651 - 62 (12 pages)
- 0
Since the self-governing system started in Korea, The activities for boosting local culture have become at the core of culture policy. So local culture policy has been facing new changes. Through the futuristic vision of the region mad the various values-making, an landmark image representing an entire region needs an strategy to create a new one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it has to contribute to the quality culture such as the unity and morale boost of the local residents, and tourist attraction.A symbolic sculpture is an important source that creates the characteristics of one region. Especially, the feature of the region has to make the standard sense of unity for all residents to share, and it can also play a role in advertising itself to other places. A symbolic sculpture will be able to be successful only when local residents can use it properly and try to make new values.Therefore, this study made an on-the-spot survey for a symbolic sculpture used by subject matter with regional feature. A symbolic sculpture can be mainly divided into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The former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ncient relics, historic spots, natural environments, special products, agricultural products, special place and famous drama shooting places. The latter can also be made up of myth, legend, history, weather condition,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 feature of local residents.In order for community development to be made successful, the feature of a region and an environmental analysis are needed from a broader perspective. Therefore, through the classification this study offers such as tangible element and intangible element of symbolic sculptures, I wish it could be a step forward in the study of improving the feature of the region.
우리나라는 지방자치제 실시 후 지역 문화의 활성화가 문화정책의 핵심으로 부상되어 지역 문화정책은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한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이미지는 그 지역의 미래 비전과 다양한 가치 창출 등을 통하여 지역민들의 단결과 사기 진작, 그리고 대외적인 이미지 제고를 통한 관광객의 유치 등 양질의 지역문화에 기여하여야 한다는 시대적인 상황과 요구가 새로운 지역이미지 조성 전략을 필요로 하고 있다. 상징조형물은 지역의 특성을 만들어 내는 소중한 자원이다. 특히 지역 특성은 주민 모두가 공유할 수 있도록 공통적인 일체감을 만들어야 하고, 지역 외부에 대해서는 지역의 특성을 알리는 지역의 이미지가 되기 때문에 이것을 적절히 이용하여 새로운 가치창출이 시도되어야만 지역 활성화는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특성의 소재를 이용한 상징조형물에 관하여 현장답사를 통해 조사하였고, 이를 크게 유형요소와 무형요소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유형 요소의 경우는 타 지역에서 찾아볼 수 없는 것들 즉, 유적, 역사적 장소, 자연환경, 고유 특산품이나 농수산물, 특수한 장소나 최근의 유명한 드라마 촬영 현장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무형 요소는 각 지역에서 유래되고 있는 설화나 전설, 역사성, 기상조건, 무형문화재, 지역 주민의 특성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지역개발의 목표를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관점에서 지역의 특징과 환경 분석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상징조형물 ‘유형 요소’와 ‘무형 요소’의 분류는 지역 특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