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중국의 한국어 문법 사전 용례에 대한 언어문화 분석-≪韩国语实用语法词典≫의 용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language culture on the examples of Korean grammar dictionary in China – Focus on the examples of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 0
커버이미지 없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amples of Korean grammar dictionary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published in China in the perspective of language culture.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contains entries in grammar forms of about 910 particles, affixes, and so on. Entries are presented in the form of words, phrases, and sentences. Examples in the sentence form are about 4,612. Expecially, some examples presented in the sentence form reflect specific political, socio-cultural contents. The study analyzed the examples reflected the socio-cultural scenes of Korean Chinese from the examples of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is written by the Korean Chinese researcher in China. A dictionary is reflected by author"s language perspective and cultural background, so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is reflected by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Korean Chinese. The analysis result of language culture on the examples of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are as in the following. At first, it is reflected in the examples of the agriculture based on forming Korean Chinese society in China. After China"s economic reform, actively growing China"s economic aspects are reflected in the examples. Besides, there are some examples influenced by cultural words using in North Korea which are reflected the contents on the war, the battle and the unification. The examples of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are written in Korean, but the contents are reflected the culture and the system of Korean Chinese in China. This study expects to understand the cultural background reflec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 published in China, as well as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 글의 목적은 중국에서 편찬한 한국어 문법 학습 사전, ≪韩国语实用语法词典≫ 에 수록된 용례를 언어문화라는 관점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韩国语实用语法词 典≫에는 910여 개의 조사와 어미, 접사 등의 문법 형태가 표제어로 수록되어있다. 표제어에는 단어와 구 그리고 문장 형태의 용례가 제시되어 있는데, 문장의형태로 제시된 용례는 약 4,612이다. 특히 문장으로 제시되어 있는 용례 중에는특수한 정치 사회 문화적인 내용을 반영하는 것이 있다. 이 글에서는 ≪韩国语实用语 法词典≫의 용례 중에서 중국 조선족의 사회 문화적인 장면을 반영하는 용례를구분하여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韩国语实用语法词典≫은 중국의 조선족 연구자에 의해 집필되었다. 사전이집필자의 언어 직관과 문화적 배경에 영향을 받는 만큼, ≪韩国语实用语法词典≫에는 조선족 사회의 문화적 배경이 반영될 수밖에 없다. ≪韩国语实用语法词典≫의용례에 대한 언어문화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과거 중국에서 조선족사회가 형성되는 데에는 기반이 되었던 농경문화가 용례를 통해 반영되어 있는것을 확인했다. 개혁개방 이후 활발히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경제적인 면모도 용례에반영되어 있었다. 이 밖에 북한에서 사용하는 문화어의 영향으로 보이는 용례들이있었는데 전쟁과 전투 혹은 통일에 대한 내용을 반영하고 있었다. ≪韩国语实用语法词典≫의 용례는 한국어로 기술되어 있지만, 그 내용은 중국 조선족 사회의 문화와 제도를 표현한 것이 반영되어 있었다. 이 글은 중국에서 발간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 반영된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나아가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