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ually the distinction of weak AI and strong AI is used tocharacterize AI. And starting from this distinction, AI is distinguishedfrom the human. To demonstrate this, I will take three types oftheories about AI. But this distinction is misleading in several aspects. Above all, the distinction of ‘strong’ and ‘weak’ is too simple andambiguous to characterize the specific traits which matter in specificcases. Second, that distinction represents mostly the old models ofpower and physical strength. And besides, there are two kinds ofhypotheses underlying all three types of theories about AI. The firstone is ‘opposition hypothesis’ between human and machine. Thesecond one is ‘hierarchy of strength and weakness’. These two, beingintertwined with each other, bring about lots of misunderstanding. And,to overcome this misleading distinction, I think, it is helpful to listento the insights of ‘technoscience’ and the cybernetics of second order.
인공지능을 논의할 때 사람들은 흔히 ‘약한weak’ 인공지능과 ‘강한strong’ 인공지능의 구별을 사용하고 있다. 이 구별은 인공지능들을 서로 구별할때만 흔히 사용될 뿐 아니라, 인공지능을 인간과 구별하는 데에서도 사용된다. 이 점은 인공지능에 대한 세 가지 유형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인간의 창의적인 마음과 인공지능을 구별하는 이론이며, 둘째는 인간의 포괄적인능력을 강한 지능의 기준으로 삼는 관점이며, 셋째는 인간보다 우월한 종을 강한 인공지능의 기준과 목표로 삼는 관점이다. 본 연구는 그 관점들이 전제하는 명제나 주장의 적절성 및 모호성을 살펴볼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른 한편으로 그들 모두에게 공통된 전제가 두 가지있다는 것을 분석할 것이다. 첫째 전제는 종 차원에서의 인간과 기계의 ‘대립의가설’이라고 부를 수 있는 이분법이다. 둘째 전제는 강함과 약함의 위계질서이다. 위의 세 가지 유형이 개별적으로 설정하거나 전제하는 내용 가운데 핵심은단순히 이 위계질서가 아닐 터이지만, 강함과 약함의 기준에서 인간지능과 인공지능을 구별하는 과정에서 이 위계질서가 과도하게 일반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이 두 전제가 강한 지능과 약한 지능을 구별하는 과정에서 결합되면서,서로를 강화시켜주는 일이 일어난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