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령은퇴자 신체건강 변화궤적의 예측요인-은퇴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Predictors of Physical Health Trajectory among Middle- and Older Adults -Focusing on Impacts of Retirement Characteristics-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 한국지역사회복지학
- 0(64)
-
2018.031 - 24 (24 pages)
-
DOI : http://dx.doi.org/10.15300/jcw.2018.64.1.1
- 0
By applying latent growth model,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trajectory of active daily living (ADL) of Korean retirees and to determine its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retirement characteristics predictors. A total of 2,857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sample, who reported a continuous retirement status during the three waves (2009, 2011, and 2013)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According to the unconditional model, the ADL of the study subjects was more likely to be limited over time, and subsequently the predictors differentiating this trajectory were investigated in the following analysis of the conditional model. Specifically the early retirement, involuntary retirement, male or older groups showed a higher initial level of ADL than their counterparts, and moreover, older or higher income group were associated with a steeper slope of ADL. The current study underscores that the impact of retirement could be heterogenous depending on retiree’s own conditions.
본 연구는 은퇴자들의 일상생활수행능력(ADL)의 변화궤적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은퇴특성 요인들을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민노후보장패널의 3차시(2009년), 4차시(2011년), 5차시(2013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해당 차시 동안 지속적으로 은퇴상태인 2,857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무조건부모형 결과, 중·고령은퇴자들은 이후 차시 동안 ADL의 제약이 증가하였다. 나아가 조건부모형을 통해 조기은퇴, 비자발적 은퇴, 남성, 고령 집단에서 더 높은 ADL 초기값을 보이며, 고령자거나 소득이 높을 때 ADL의 증가속도가 가팔라지는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은퇴의 과정과 결과가 개인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보임에 주목하고 이에 따라 사회복지 이론적, 실천적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