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investigated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a diode-pumped, passively Q-switched, intracavity frequency-doubled Nd:GdVO₄/LBO red laser with V³+:YAG as a saturable absorber and LBO as a nonlinear crystal. The laser had a V-type cavity configuration with two concave mirrors and one flat mirror. We searched for a suitable position for the saturable absorber by using ABCD transfer matrix method to calculate the radius of the TEM_{00} mode. The calculation considered the thermal lensing effect of the gain medium. We calculated not only the radii of TEM_{00} modes in the gain medium and the saturable absorber but also the ratio of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mode in those regions. Comparing these results with those for the passive Q-switching condition, we were able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 Q-switched red laser oscillation. The maximum average power, repetition rates, pulse widths, single-pulse energies, and peak powers of a Q-switched 670 nm red laser were 32 mW, 18.4 ~ 162 kHz, 113 ~ 158 ns, 0.20 ~ 0.65 μJ, and 1.25 ~ 5.26 W, respectively.
다이오드로 펌핑하고 V³+:YAG 포화흡수체와 LBO 비선형 결정을 이용하여 수동형 Q-스위칭 및 내부공진기 주파수 배가된 670 nm Nd:GdVO₄/LBO 적색 레이저의 출력 특성에 관해 조사하였다. 레이저 공진기는 두 장의 오목거울과 한 장의 평면거울을 이용하여 V-자 형태로 구성하였다. 이득 매질의 열렌즈 효과를 고려한 ABCD 전파행렬 방법을 이용하여 공진기를 분석하여 포화흡수체의 위치를 적절히 결정하였다. 또한 이득 매질 및 포화흡수체 내의 TEM_00 모드 반지름뿐만 아니라 모드 단면적 비를 계산하고 Q-스위칭 이론과 비교하여 적색 레이저의 발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Q-스위칭된 670 nm 적색 레이저의 출력 특성 결과로 최대 32 mW의 평균 출력, 18.4 $\sim$ 162 kHz의 펄스 반복률, 113 ~ 158 ns의 펄스폭, 0.20 ~ 0.65 μJ의 단일 펄스 에너지 및 1.25 ~ 5.26 W의 첨두 출력을 얻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