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해당억제제로서의 불소나트륨이 혈당 측정에 미치는 영향: 국민건강영양조사 진단의학검사 검체를 이용한 혈당 측정치 비교 연구

Effectiveness of Sodium Fluoride as a Glycolysis Inhibitor on Blood Glucose Measurement: Comparison of Blood Glucose using Specimen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6
커버이미지 없음

Background : Accurate measurement of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is essential for defining diabetes, and the minimization of ex vivo glycolysis has been recommended. Recent guidelines advocate two kinds of methods for sample collection and processing: either the sodium fluoride (NaF) method or immediate refrigeration using a serum separation tube (SST).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in measuring subsequent glucose concentrations using blood specimens from participants recruited for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ethods : Paired venou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in an SST and a NaF tube from 1,103 men and women. SST serum was separated within 30 min, including standing for 15 min, and then refrigerated. The NaF samples were refrigerated, but not separated until immediately before analysis. We compared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between the SST (SST glucose) and NaF (NaF glucose) methods. Results : The mean SST gluco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aF glucose (99.0 mg/dL vs 96.5 mg/dL, P<0.05). NaF glucose showed a negative mean bias of 2.6 mg/dL vs SST glucose but showed high correlation (R=0.9899).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bias of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by two methods and the storage time of NaF glucose. Conclusions : The negative bias associated with the use of NaF tubes may significantly affect the prevalence of diabetes. Serum separation and refrigeration within 30 min after venous sampling is recommended over NaF method, not only to minimize the preanalytical impact on detecting diabetes but also to reduce sample volume and number of tubes.

배경 : 당뇨 진단을 위해 정확한 혈당 측정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검체 내 해당작용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현재까지는 해당작용을 억제하기 위해 채혈과 검체 처리 시 불 소염 첨가법 또는 혈청분리용기를 이용한 냉장 보관법 등 두 가 지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저자들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진단의 학검사에 참여한 피검자의 혈액을 이용하여 두 방법의 혈당 측 정을 비교하였다. 방법 : 남녀 피검자 1,103명으로부터 혈청분리용기와 불소염 용기에 정맥혈을 채취하였다. 혈청분리용기의 검체는 15분간의 응고 유도를 포함하여 30분 이내에 혈청을 분리한 후 냉장 보관 하였고 불소염 검체는 혈장분리가 안 된 상태로 냉장 보관하였 다. 두 방법 간의 혈당 측정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혈청분리용기 검체의 평균 혈당농도는 99.0 mg/dL로 서, 불소염 검체의 96.5 mg/d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두 방법 간 결과는 매우 강한 상관성을 보였으나(R=0.9899), 불소염 검체가 2.6 mg/dL의 음성 평균 오차를 보였다. 시간 경 과에 따른 두 방법 간 혈당 농도의 차이에 있어서 유의한 변화 는 없었다. 결론 : 불소염 용기 사용 시 관찰되는 혈당 농도의 음성 오차 는 당뇨의 유병률 조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불소염 용기 사용보다 혈청분리용기를 이용한 검체 채취 후 30분 이내 혈청 분리와 냉장 보관이 분석 전 영향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채혈 양과 검체 용기 수를 줄이는 데에도 일조할 것으로 판단되 었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