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교육에서 공간지능의 역할
The Role of Spatial Intelligence in Geography Educati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13(2)
-
2005.08211 - 224 (14 pages)
- 0
The simple comparison between geography education and spatial intelligence doesn?t have the meaning. Because geography education is formed culturally and spatial intelligence is formed biologically. But the spatial intelligence among the multiple-intelligence is the deepest relationship with geography education. The geography education is the domain to offer the opportunity reveal to spatial intelligence culturally. The spatial intelligence is relate to geography education such as express geometry and transform of visual cognition and reconstruction. The character of cognition, manipulate relationship, reconstruction in spatial intelligence is deep relate to region cognition and understand of physical and human relationship and reconstruction in his own position in geography education. The use of spatial intelligence is essential for meaningful and efficient geography education. We need to consider the spatial intelligence for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teaching-learning method, geographical assessment in geography education. The geography education is based on spatial intelligence, namely, cognition of visual and specific, understand of relationship on physical and human environment, location of his own thinking namely self-consciousness process. We need the reflection on geography education was not reach to self-consciousness process, but only focus on understand relationship among factors.
문화적으로 형성된 영역인 지리교육과 생물학적으로 형성된 공간 지능은 서로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단순 비교는 의미가 없다. 그러나 다중지능 중에서 지리교육의 특성과 가장 관계가 깊은 지능이 공간지능이고, 생물학적인 공간지능을 문화적으로 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영역은 지리교육이다. 공간지능은 시각적인 측면에서 미술 영역과 관계가 깊지만, 공간지능의 특성인 기하학적 표현과 시각적 인식을 변형하고 재창조하는 특성에서는 지리교육내용과 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특히 공간지능의 인식, 관계파악, 재창출은 지리교육에서 지역을 인식하고, 자연과 인문 환경적 요소의 관계를 파악하고, 자신의 위치에서 재창조한다는 측면에서, 지역을 학습대상으로 하는 지리교육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따라서 효율적이고 의미있는 지리교육을 위해서는 공간지능의 활용이 필요하다. 방법적인 측면에서 지리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선정과 조직 방법 및 교수-학습 방법, 그리고 지리 평가에서 공간지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공간지능에 기초한 지리교육 또는 지역에 관한 학습은, 먼저 지역을 시각적이고 구체적으로 인식하는 일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 다음 단계에서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인문 환경적 요소와 자연 환경적 요소 간의 관계를 파악해야 하며, 최종 단계에서 자신의 인지구조상에서 재창출하여 위치시키는 작업, 즉 자기화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지리교육은 지역을 인식하고 자기화하는 부분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요소들 간의 관계 파악에만 주력했다는 반성이 필요하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