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유아교육현장에서 돌봄의 실천과 한계

Practice of Caring and It"s Limitation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 5
커버이미지 없음

This study explores teachers" experiences with practicing caring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and examines the meaning of those experiences. In this study, six teachers had twelve meetings and exchanged conversations with one another for one year. Four forms of teachers" practice of caring were delineated: concern for a child, acceptance and sympathy for a child, understanding a child, and reciprocity with a child. During the course of the meetings, the teachers reported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e practice of caring. They reported 1) feeling that their own attitudes toward the children were inconsistent, 2) a lack of responsiveness from the children, 3) sensing the parents" ideas of the dichotomy between education and caring, and 4) poor working environments. For teachers, becoming a caring teacher meant the process of growing as a professional teacher, entering into pedagogical relationships with children, and form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colleagues, principals, and par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construct a caring school community to better facilitate the practice of caring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돌봄 실천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돌봄 실천 시 교사가 겪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돌봄 실천은 교사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알아봄으로써 돌봄의 중요성과 가치를 재조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명의 어린이집 교사들과 1년에 걸친 12회의 모임을 통해 대화하고, 그들의 저널을 수집하였다.유아교사들의 돌봄 실천 형태는 유아에 대한 관심, 인정과 공감, 이해, 유아들과의 상호 호혜성으로 나타났다. 돌봄 실천 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에는 교사자신의 일관성 없는 태도, 유아들의 무반응, 돌봄에 대한 부모들의 잘못된 인식, 열악한 근무환경 등이 있었다. 참여교사들에게 있어서 돌봄을 실천하는 교사가 된다는 것은 전문적 능력으로서의 돌봄 실천을 통한 교사로서의 자기 성장 과정, 유아들과의 교육적 관계 맺기, 교사-교사, 교사-원장, 교사-부모간의 협력적 관계 맺기 등의 의미를 지녔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의 돌봄 실천을 위해 돌봄의 교육공동체 구축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