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communication apprehension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elf-discrepancy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There were 296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ho completed ‘self-discrepancy scale’,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scale’. The data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lation between self-discrepancy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were partially mediated by communication apprehension.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gender difference. For male and female, the model of partial mediations were support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인관계 상황에서 자기개념 간 불일치가 대인관계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의사소통 불안의 매개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 불일치 이론을 바탕으로 세 가지 차원의 자기 개념 즉, 실제 자기개념과 이상적 및 의무적 자기개념들 간 차이를 대인관계 측면에서 산출하고, 자기 개념 간 불일치 정도가 의사소통 불안을 매개로 대인관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모형을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대인관계 측면에서의 자기불일치는 대인관계에 직․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의사소통 불안은 부분 매개를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설정한 연구 모형이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여 집단 모두 부분매개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