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aper presents an overview of the heavy metal pollution over Dong-myoung Mine area in Jeongsun Kangwon-Do, formerly producing gold and silver, with a hope the data could be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n efficient way of reclamation. To survey the heavy metal pollution, several hundreds of points including 325 surface, 142 under surface are sampled over 21 ha.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soil samples from polluted and unpolluted area are investigated to find the cause of pollution. Also the heavy metal distribution in ore and goaf are found by using of SEM-EDS. As a result, the polluted surface area is 71,952 m 2 , and 32,736 m 2 of them exceed the action needed limit, and the main pollutants is arsenic contained in arsenopyrite.
본 연구는 과거 금과 은을 생산하던 강원도 정선의 동명광산 주변 지역의 중금속 오염 실태를 조사하고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광해복구 방법의 선정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총 21 ha의 면적에서표토 325개, 심토 142개, 심도별 시료 100개 등을 채취하여 중금속 오염도를 조사하였으며, 중금속 원소별 오염원인물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오염토양과, 비오염토양의 입도분포와 입도별 화학조성과 중금속농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아울러 광석과 폐석에 존재하는 중금속의 분포를 SEM-EDS로 조사하여 검토하였다. 조사 결과 표토오염면적은 71,952 m 2이었으며, 이 중 대책기준 초과면적은 32,736 m 2이었고 대부분의 토양은 비소로 오염되어 있었으며 비소의 비소오염의 원인물질은 유비철석임을 알았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