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arine controlled-source electromagnetic (mCSEM) method, which is also called as sea-bed logging(SBL), has recently burst upon offshore hydrocarbon explorations as an auxiliary method. Most Korean engineers in the oil-industry know little about mCSEM, even though not only mCSEM has proved its power in detecting the existence of hydrocarbon in trap structures being successfully commercialized, but also various researchers have developed survey equipments, analyzed effects of survey parameters and survey environments through numerical simulations and interpreted mCSEM data through inversion techniques together with a seismic or magnetotelluric method. Further, studies on mCSEM are expanding to various subjects like researches on air wave,vertically transversely isotropic media, time-lapse mCSEM, and so on. This study explores the progress of mCSEM for the last 10 years, introducing the importance of mCSEM for the hydrocarbon exploration to Korean oil-industry engineers including geophysicists, geologists, reservoir engineers and other engineers working in the oil industry.
인공송신원 해양전자탐사는 해저 탄화수소자원 개발에 있어, 탄성파탐사를 통해 확인한 유망구조 내의 탄화수소 부존을 직접 탐지할 수 있는 물리탐사법으로 SBL (seabed logging)이라고도 불린다. 해양전자탐사를 적용하면 유망구조 내 탄화수소를 적접탐지할 수있다는 것이 확인되면서 최근 10여 년 동안 급속하게 발전해왔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여전히 생소한 탐사법이다. 해외에서는 이미 많은 연구자들이 해양전자탐사의 장비개발, 모델링을 통해 각종 탐사변수 및 탐사환경이 자료에 미치는 영향분석, 정확한 자료해석을 위해 역산 알고리듬의 개발 및 탄성파탐사나 해양 자기지전류 탐사와의 복합해석 등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진행되었다. 또한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 해양전자탐사의 성공적인 적용을 위하여 공기파, 이방성 등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뿐 아니라 잔존 탄화수소 추정 및 저류층 관리 등을 위한 시간경과 해양전자탐사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논문에서는 석유탐사에서 해양전자탐사가 상업적으로 각광받기 시작한 지난 10여 년 동안의 발전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한국의 물리탐사 전공자뿐 아니라, 지질학자나 석유공학 전공자 등 석유 업계에 종사하는 한국 전문 인력들에게 해양전자탐사를 소개하고자 한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