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심해 유가스전 탐사를 위한 동해 울릉분지 원거리벌림 탄성파탐사 자료처리

Long Offset Seismic Data Processing for Deep Water Hydrocarbon Survey of Ulleung Basin, East Sea, Korea

  • 0
커버이미지 없음

Deep water multichannel seismic data requires optimal acquisition and processing parameter analysis for high-resolution imaging at the target depth. In this paper, we introduce deep water seismic acquisition and processing parameters for the long offset seismic survey conducted in 2010 on Ulleung basin, East Sea of which the water depth is over 1,400 m. 5,000 m streamer for the deep water seismic imaging is the longest one ever used by domestic survey team in Korea. Also we produced seismic stack section by adaptive processing including demultiple using Radon filter and velocity analysis module. Stack section revealed deep sediment layers which were not easily recognized on the conventional seismic section. Our result showed that multiple rejections and velocity analysis might be crucial to deep water seismic data processing for East Sea, Korea. To secure deep water seismic techniques in offshore Korea, various seismic data processing techniques need to be studied and this deep water seismic data can be used in the subsequent related researches.

심해 유가스전 탄성파 탐사는 영상화 목표심도가 깊기 때문에 자료 취득 및 처리변수가 천해 탐사와 상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심 1,400 m 이상인 동해 울릉분지에서 2010년 취득한 다중채널 탄성파 탐사자료의 취득 및 전산처리 변수를 소개하고 자료처리 결과물인 겹쌓기단면을 제시하였다. 탄성파 탐사자료는 5,000 m 길이의 스트리머를 전개한 국내 최대 원거리벌림 설정과 대용량 음원 발파로 취득되어 심부 지층 영상화에 적합하다. 전산처리를 수행하여 작성된 겹쌓기단면을 관찰한 결과 기존 탄성파 탐사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은 심부 퇴적층서 구분이 가능하였다. 울릉분지 심해 탄성파자료의 적절한 영상화를 위하여 라돈 필터를 이용한 해저면 겹반사파 제거가 필요하였고 심부지층의 연속성을 높이는 속도분석이 요구되었다. 향후 국내 심해 유가스전 탄성파 탐사기술 정립을 위하여 다양한 자료처리 기법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 소개된 탄성파자료가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