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 reservoir formation evaluation, well data(well logs and core analysis data) can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reservoir properties with high vertical resolution at well locations. Even though the seismic surveys cover the entire areas of field, seismic data give only indirect features about reservoir properties. It is however possible to estimate the reservoir properties guided by seismic data on entire area if o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eismic data and well data can be defined. Seismic attributes calculated from seismic data contain the particular reservoir features, so that they should be extracted and selected properly for the purpose of study. Fuzzy curve analysis based on fuzzy logics is used for selecting the best attributes. This methodology is applied to a synthetic seismogram acquired from artificial velocity model. The attributes calculated from the seismic data are seismic trace, reflection strength, pseudo sonic logs, instantaneous phase, and instantaneous frequency. Fuzzy curve analysis is used for choosing the best seismic attribu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ected seismic attributes and well logs is found out by the statistical regression method. On entire area of field, reliable reservoir property can be estimated from only seismic attributes.
기존의 저류층 특성화 연구에 사용되어온 유정자료(물리검층자료, 코어분석자료)는 궁극적으로 필요한 저류층 전체 영역에서의 물성분포가 아닌 유정 주변 위치의 물성값만을 비교적 정확하게 도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탄성파 탐사 자료는 저류층 전체 영역에 대한 간접적인 물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저류층 전체 영역에서의 탄성파 특성자료와 유정자료와의 상관관계를 얻을 수 있다면 이를 이용하여 저류층 전역의 비교적 정확한 물성 값을 도출할 수 있다. 탄성파 탐사자료에서 추출해낼 수 있는 많은 탄성파 특성자료들 중에 물리검층 자료와 가장 상관성이 큰 특성자료들을 퍼지 곡선 분석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이렇게 선택된 자료를 이용하여 검층자료와의 관계식을 도출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인공 속도모델의 탄성파 탐사 결과로부터 탄성파 트레이스, 반사 강도, 의사 음파검층, 순간 위상 및 순간 주파수 등의 탄성파 특성자료를 얻었고, 퍼지 곡선 분석을 이용하여 순간 위상을 제외한 나머지 특성자료들을 해석 변수로 선택하였다. 그리고 통계학적 분석법인 다중 회귀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선택된 탄성파 특성자료와 물리검층자료인 음파검층 자료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내어, 이 관계로부터 저류층 전체 영역에 해당하는 물성 정보를 탄성파 특성자료만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