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D.S., Lee, B.H., Kim, J.K., Moon, H.W., Yoon, S.S.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Weight Training on changes of Blood Lipid Profile in Obese Middle School Student. Exercise Science, 12(2): 233-242, 2003.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weight training on changes of blood lipid profile in obese middle school students. Twenty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erobic exercise training for 12 weeks(n=10); aerobic exercise training with weight training for 12 weeks(n=10). All subjects were measured 1 RM, body composition and blood samples were drawn from antecubital vein before taking part in the two kinds of different exercise training programs and at 4, 8, 10, 12 weeks po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t in the blood TC concentration at 4 week and 8 weeks after exercise training between exercise training programs(p<.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in the blood TG concentration at 12 weeks after exercise training between exercise training programs(p>.05). In this study, both aerobic exercise training and aerobic exercise training with weight training for 12 weeks could be caused the decrease of blood lipid and % body fat and the increase of fat free mass. Fu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a regular physical activity might be most important factor as the portion of daily energy expenditure and could increase the capacity of physiological adaptation in obese individuals.
이동수, 이복환, 김정규, 문희원, 윤순식. 12주간의 유산소 운동과 웨이트 트레이닝의 병행이 비만 아동의 혈중 지질 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2권 제2호, 233-242,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 비만 학생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유산소 운동과 웨이트 훈련의 병행이 혈중 지질 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체지방율이 35 % 이상인 중학교 남자 20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의 서로 다른 훈련 프로그램(유산소 운동 그룹과 유산소와 웨이트 훈련 병행 그룹)에 12주 동안 참가하게 하였다. 혈중 TC 농도 변화에 있어서는 훈련 시작 후 4주와 8주에 유산소 운동과 웨이트 훈련을 병행한 그룹이 유산소 훈련 그룹 보다 낮은 혈중 TC 농도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p<.05). 혈중 TG와 LDL-C 농도에 있어서는 두 가지 서로 다른 훈련의 형태에 따라서 훈련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p>.05). 혈중 HDL-C 농도 변화에 있어서는 두 가지 서로 다른 훈련의 형태 모두에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p>.05).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