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데카르트 『성찰』의 신 존재 증명과 새로운 관념이론: ‘선험성’과 ‘후험성’의 의미에 대한 재고

Cartesian Proofs of God in Meditations and the New Theory of Ideas: A Reconsideration of the Meaning of ‘a priori’ and ‘a posteriori’ of Cartesian Proofs

  • 0
커버이미지 없음

Descartes’s Meditations contain three proofs of God’s existence. They have been considered to be different in nature, called respectively as ‘a posteriori proof’ (or demonstration through causality) and as ‘a priori’ (or demonstration through essence), and associated, at least in their form, with the proof of St. Thomas and with that of St. Aselm. Putting emphasis on the fact that ‘the idea of God’ serves as the common point of departure for each of the three proofs, I argue, first, the nervus probandi of all three demonstrations are the same: each of them is proven from God’s essence and at the same time via causality. Why then has this unity of the three proofs been received so little attention? I show, secondly, that this is due to the tenacious neglect of Descartes’s new conception of ideas, namely the ontological positivity and the activity of ideas. Does this mean that the three proofs of Meditations can be reduced into one of them? I answer in the negative and argue finally that despite this unity each proof has its own function, irreducible one to another,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various aspects of the activity of ideas, as are deployed according to the ‘order,’ imposed by the analytic method of Mediations.

『성찰』에서 데카르트는 세 개의 신 존재 증명을 제시한다. 이 증명들은 통상 ‘후험적a posteriori’ 증명(혹은 인과성을 통한 증명)과 ‘선험적a priori’ 증명(본질을 통한 증명)으로 분류되고, 각각 아퀴나스와 안셀무스의 증명과 형식상 동일시되면서, 성격이 다른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우선 세 증명이 모두 ‘신의 관념’을 출발점으로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증명의 관건(nervus probandi)이 모두 동일함을, 즉 셋 다 ‘신의 본질’에 의한 증명인 동시에 ‘인과성’에 의한 증명임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왜 증명들의 이런 통일성이 지금까지 주목되지 않았는가? 이 글은 둘째, 그 이유가 데카르트 관념 이론의 혁신적 측면, 즉 관념들 고유의 존재론적 실정성과 활동성이 당대부터 오늘날까지 거의 간과되어 왔기 때문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그렇다면 결국 『성찰』의 세 증명들은 어느 하나로 환원될 수 있는가? 이 글은 마지막으로, 증명들의 통일성에도 불구하고, 그것들 각각이 독자성을 지님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 역시『성찰』의 분석적 방법의 ‘순서’에 따라 드러나는 바, 관념의 활동성의 여러 측면과 관련하여 해명된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