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looked at the narrative structure of Ieodo as the double frame structure combined the top frame structure and the subordinate frame structure. Accordingly, this study considered Ieodo centering around the narrator-focalizer of the top frame structure and the focalizer of the subordinate frame structure. Based on this critical mind, this study decided that the narrative structure of Ieodo is formed as an internal form to embody themes and tried to bring light on this. The subordinate frame structure embodied the context that was drawn by Seonwoo-hyoun . This context had different fourth opinions about the definition of Ieodo. Seonwoo-hyoun as stranger believed the facts and unbelieved Ieodo. Yang-juho as director of newspapers believed the truth in fiction and regarded Ieodo as rescue, dream, hope. The woman had lived in singing Ieodo’s song and had been not leaving the island in spite of Cheon-namseok’s abuse. Cheon-namseok’s denied Ieodo and resisted the fate imposed on islander. The top frame structure has played two roles. Firstly, this structure suggested the transition of Seonwoo-hyoun’s thought that the negative of Ieodo had been changed into the belief of its. Secondly, introducing the legend of Ieodo, this structure suggested Cheon-namseok’s body that denied the fate of Ieodo but returned to the island. Consequently, the top frame structure has the effect of simultaneously viewing the real truth of Ieodo legend and the craving for a denial of fate.
본고는 「이어도」의 서사구조를 상위 틀서사와 하위 틀서사가 결합된 이중 틀서사로 보고, 상위 틀서사의 화자-초점화자와 하위 틀서사의 초점화자를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서사구조가 주제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하위 틀서사는 선우 현 중위의 시선으로 그려지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선우 현 중위가 만나는 사람들을 통해서 이어도를 둘러싼 네 가지 서로 다른 입장을 보여준다. 선우 현 중위는 사실에 근거해서 사고하는 인물로, 이어도를 믿지 않는 외지인을 대표한다. 다음 양주호는 신문사 국장이지만 객관적 사실보다는 허구 속에 진실이 있다고 믿는 인물로, 이어도를 구원, 꿈, 희망으로 여기며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섬사람들의 삶을 표상한다. 다음 여자는 천남석의 학대에도 불구하고 섬을 떠나지 않고 이어도 소리를 하며 살아간다. 마지막으로 천남석은 이어도를 부정하고 섬사람에게 지워진 운명에 저항하고자 한다. 상위 틀서사는 두 가지 역할을 담당한다. 먼저 선우 현 중위의 이어도에 대한 생각이 이어도는 없다는 사실 중심의 사고에서 이어도에 대한 믿음을 갖게 되는 사고로 변화하는 것에 주목한다. 다음으로 이어도 전설과 파랑도 소문을 소개하며, 천남석의 육신이 섬에 돌아온 것이 이어도의 운명을 거부하고 떠난 인물의 회귀라는 비범한 사건이 될 것임을 암시한다. 화자-초점화자의 시선은 이어도 전설이 갖는 비가시적인 진실의 진정성과 그 이면에 놓인 운명 거부의 현실적 갈망을 동시적으로 조망하는 효과를 낳는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