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 are more than 800 historic site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round the world. Among the 800 historic sites, the number of historic sit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is more than 400. This is a reason why china was hub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But, collecting of research material which related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archives by Korean researcher is practically very difficult. This study summarizes present condition of collecting and application plans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research material.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collected 5000 microfilm rolls of china modern newspapers from 2005 to 2011. Magazines microfilms was collected in 2013 by collection plans which was devised 2012. Research material of Korean Restoration Army which other research institute could not collect was collected in Chongqing Archive. And material of Korean Restoration Army is used for important basis of conserving general headquarters of Korean Restoration Army. Tasks of collecting research material in china are constructing material collection system through closer ties with Chinese museum. Furthermore, Korea and China should make an effort to publish joint sourcebooks by using collected research material.
전 세계 한국독립운동관련 사적지는 약 800곳 정도이다. 그 가운데 중국지역에 산재해 있는 유적지는 400곳이 넘는다. 그만큼 중국은 국외독립운동의 중심이자 격전지였다. 따라서 한국독립운동에 관한 자료 역시 가장 많이 있는 곳도 중국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한국인 학자들이 중국 당안관에서 한국독립운동 관련 자료를 수집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 글은 그동안 독립기념관에서 추진했던 중국지역 독립운동사 자료 수집현황과 활용방안 및 과제를 정리한 것이다. 독립기념관은 중국 국가도서관과 합작하여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중국 근대 신문 M/F자료를 5,000여 롤 수집하였으며, 2012년에는 잡지 수집계획을 세워 2013년에는 잡지 96롤을 수집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중경당안관에서는 다른 기관에서 수집하지 못한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관련자료를 확보하여 총사령부 건물 보존의 중요한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 중국지역 자료수집의 과제로서는 한국 내 각 기관의 개별적인 자료 수집을 지양하고 현지 중국의 박물관과 기념관과 긴밀한 유대관계를 맺어 지속적인 자료수집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발굴된 자료를 양국이 공동자료집으로 출간하는 노력도 아울러 기울여야 할 것이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