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수리․과학적 문제 해결과 언어

Mathematical ․ scientific problem-solving and language

  • 0
커버이미지 없음

This study is aimed at discussing the correlation of solving mathematical and scientific problems and language, and the role of language education to improve the ability to solve such problems. Seeking solution to problems is a key and necessary human activity in a linguistic environment. It is also a very important argument that cognitive psychology has dealt with recently. In particular, teachers who review primary subjects such as math, natural science and social science and those who conduct research work on curriculum have realized the need to study high-order thinking skill related to solving mathematical, physical and social problems that are expressed in sentences. This study takes a look at how language plays a role in solving problems by presenting some examples of real life and scenes of taking lessons in classrooms, which are focused on the role of language for communication. In addition, it primarily approached the role of language to enhance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from the point view of "metacommunication", "language thinking", "text", "creativity" and "curriculum." Among other things, this study assumes that improving the skill to use proper words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would enhance to ability to solve mathematical and scientific problems. At the same time, it proposes to recognize the comprehensive role of communication function that is not limited to curriculum, with verbal thinking, establish curriculum that best fits the goal of recognition and seek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이 연구는 수리․과학적 문제해결과 언어의 상호성 및 문제해결력 능력 신장을 위한 언어교육의 역할에 대한 논의이다. 문제해결은 인간이 필연적으로 속하게 되는 언어 환경의 중요한 인간 활동이다. 최근의 인지심리학에서도 문제해결은 매우 중요한 논지의 하나이다. 특히, 수학, 자연과학, 사회과학과 같은 기초교과목을 검토하는 교사와 교과과정 연구자들은 문장으로 표현되는 수학문제, 물리문제, 사회문제 등의 해결과 관련된 고차사고기술(High-order thinking skill)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 수리․과학적 문제해결 과정에 작용하는 언어의 역할에 대하여 의사소통 기능을 중심으로 실생활과 실제 수업 장면을 예를 들어 살펴보고, 문제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언어의 역할을 ‘메타의사소통’, ‘언어적 사고’, ‘텍스트’, ‘창의성’,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논의 하였다. 무엇보다 이 연구는 국어교육을 통하여 언어사용 기능을 신장한다면 수리․과학적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는 가정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그러한 전제의 실현을 위하여 언어적 사고를 동반한 의사소통 기능의 범교과적 역할의 인식과 그에 어울리는 교육과정의 수립 및 교수․학습 방법의 모색을 제안하고 있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