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on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of college freshman. The present study verifi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hypothesizing that perceived relationship with parents influence the students" autonomy, and autonomy has positive impact on competence and relatedness, and in turn, these three basic psychological factor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fluence freshman"s life satisfaction. Respondents of this study consists of 423 college freshman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ents has positive impact on autonomy. Autonomy has positive influence on relatedness and competence.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has positive impact on relatedness, competence and life satisfaction directly. With these results, we can identify develop the conditions to increase freshman"s life satisfaction at college.
본 연구는 부모자녀관계가 자율성에 영향을 주고, 자율성은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에서의 관계성과 유능성 지각에 영향을 줄 것이며, 다시 이들 변인들이 신입생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종합대학교 신입생 423명 이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이론적 모형은 높은 수준의 적합도를 보이면서 입증되었다. 이와 같은 모형의 적합도를 통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인과구조를 확인하였다. 첫째, 자율성과 관계성은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나, 유능성 지각은 대학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둘째, 자율성은 유능성 지각과 관계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모자녀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자율성과 관계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유능성 지각과는 직접적인 관련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논의와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유능성 지각보다는 자율성과 관계성이다. 그러나 자신이 유능하다고 지각하는 것은 신입생들의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둘째, 자기결정성에 대한 미국이나 유럽의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본인의 자율성을 지각하는 것이, 유능성과 관계성을 지각하는 것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들이 자율성을 확보하고, 주변사람들과의 관계성이 원만하다고 지각할 때에 대학생활의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