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북한이탈주민의 정신보건예측요인 연구

predictive factors for depressioin and substance abuse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 0
커버이미지 없음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nd Alcohol Abuse among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Kim, Yeun-Hee:Researcher, Social Welfare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e-mail:kim105578@hanmail.net  Kim, Yeun-Hee This study addresses factors that affect mental health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depression and alcohol abuse in particular. It is based on survey data collected from 188 North Korean adults in South Korea.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were found to have serious mental health problems with 5-7 times higher prevalence rates of clinical depression and alcohol abuse and dependence than South Korean counterparts. The results of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epression was related with not having intimate family support, resettlement stress level and ineffective personal coping styles. Alcohol use was related with male gender, not having family support, resettlement stress level, and the size of social network with North Koreans. Multinomial logistical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predictive factors to influence the odds against having mental health problems and the comorbidity of depression and alcoholism.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female gender and having intimate family support system were found to lower the odds against mental health problems. Ineffective coping, negative sense of personal mastery, longer stay in the South increased the likelihood of co-morbidity of clinical depression and alcohol abuse. Key Words: North Korean Defector, Mental Health, Depression, Alcohol Abuse, Psychiatric CoMorbidity

북한이탈주민의 우울과 알코올문제 예측요인 연구 김 연 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구원)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정신보건의 예측요인을 발견하고 정신보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상호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정신보건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를 발견하고자 했다. 중점 연구문제는 ‘북한이탈주민의 정신보건 성과를 예측하는 위험 및 보호요인은 무엇인가’와 ‘정신보건 고위험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예측하는 요인은 무엇인가’이다. 이 연구의 관심의 초점이 되는 위험요소로는 아동기 외상, 이주과정 외상과 정착스트레스를, 잠재적 보호요소로는 개인적 자원(자기통제감), 사회적 지지자원(인지된 사회적 지지수준, 사회적 지지망의 규모), 개인의 대처방식(문제중심 대처, 정서중심 대처)을, 성과변수로는 우울, 음주사용을 설정했다. 이 연구는 188명의 북한이탈주민이 참석한 설문조사 자료의 분석에 기반했다. 이 연구의 개념은 설문참여자의 자기보고에 의존했다. 결과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연구결과, 많은 수의 북한이탈주민이 심각한 정신보건 문제를 겪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에 따르면 15%의 응답자가 임상적 우울증상을 가지며, 음주문제는 더욱 심각하여 55%의 남성응답자와 27%의 여성응답자가 음주의존 수준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한인의 음주의존 유병률의 5~10배에 해당하는 것이다. 둘째, 세 스트레스 변수(아동기 외상, 이주 전 외상, 적응스트레스)는 정신보건 성과에 각기 다른 영향력을 가지며, 이주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처자원이 정신보건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했을 때, 문제중심 대처와 정서중심 대처라는 대처방식이 우울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네 정신보건 위험집단에 속할 확률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가족과 동거하고 여성인 경우 일반적으로 정신보건 위험군에 속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횟수가 적을수록, 문제중심적 대처스타일의 정도가 높을수록, 자기통제인식이 높을수록 이중진단을 갖는 고위험군에 속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심단어:북한이탈주민, 정신보건, 우울, 음주, 이중진단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