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업의 융합 발전을 위한 이발소와 바버샵의 위험지각 인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Awareness of Perceived Risk of korean and western style Barbershop for the Convergence of the Barbershops industry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37(5)
-
2019.12185 - 201 (17 pages)
- 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men in their 20s and 30s to use hair salons and awareness of risk perception in the barbershops industry, thereb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barbershops industry.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men in their 20s and 30s using beauty salons from January 3, 2019 to January 19, 2019, by retrieving 327 out of a total 350 copies, confirming 281 copies as valid samples, excluding 46 that were not suitable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analyzing them using SPSS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ndency of men in their 20s and 30s to use beauty salons appeared to be five factors environmental comfort, communication with designers, SNS/marketing, technical satisfaction, and transportation convenience, and the difference in age among men in their 30s was found to be more important. Second, in age-based differences in perceived risk perception for the barbershops industry, Korean style barbershops showed the highest technological instability among convenience/social risk, technical instability, physical risk and economic risk factors, with those in their 30s being larger than those in their 20s. Western style barbershop has the highest economic risk among facilities/physical risk, technical instability, and economic risk factors, and the overall. Third, in the impact of beauty salons" propensity for use on consumer risk perception of the barber shops industry, Korean style barbershops have shown that the convenience of SNS/marketing and transportation is affecting the convenience of convenience facilities/social risks, and the technical instability of communication with designers, and the comfort of the environment and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ffect the economic risks. Western style barbershop shows that the comfort of the environment affects amenities/physical hazards. Finally, if the risk perception factors of the barbershops industry are improved, the Western style barbershop for each type of service activity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Korean style barbershop.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barber shops industry for "male consumers" whose influence in the beauty market is growing, but it is limited in that i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age difference. Subsequent studies therefore need to be studied with a wider age group and samples.
본 연구의 목적은 20·30대 남성의 미용실 이용 성향과 이용업에 대한 위험 지각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이용업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본 조사는 미용실을 이용하는 20·30대 남성들을 대상으로 2019년 1월 3일부터 1월 19일까지 설문지를이용하여 총 350부 중 327부를 회수하여 통계분석에부적합한 46부를 제외한 281부를 유효 표본으로 확정하고 SPS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실을 이용하는 20·30대 남성들의 미용실이용 성향은 환경의 안락함, 디자이너와 소통, SNS/판촉, 기술적 만족, 교통의 편리함 5가지 요인으로 나타났고 연령에 따른 차이는 30대 남성의 기술적 만족요인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용업에 대한 위험 지각 인식의 연령별 차이에서 이발소는 편의시설/사회적 위험, 기술적 불안함, 신체적 위험, 경제적 위험 요인 중 기술적 불안함이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0대의 편의시설/사회적 위험요인이 20대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바버샵은 편의시설/신체적 위험, 기술적 불안함, 경제적 위험 요인중 경제적 위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30대의 위험 지각 인식이 높았고 그중 기술적 불안함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미용실 이용 성향이 이용업에 대한 소비자 위험 지각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발소는 SNS/판촉과 교통의 편리함이 편의시설/사회적 위험에, 디자이너와의 소통이 기술적 불안함에, SNS/판촉이 신체적위험에, 환경의 안락함과 교통의 편리함이 경제적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바버샵은 환경의 안락함이 편의시설/신체적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사 대상자가 느끼는 이용업 위험 지각 요인이 개선될 경우 이용업 형태 별 이용 의도는이발소보다 바버샵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뷰티 시장에서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는 ‘남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용업의 발전을 위해연구를 진행한 것에 의의가 있으나, 연령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제한점을 갖는다. 따라서후속 연구에서는 더 넓은 연령대와 표본으로 연구할필요가 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