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단순 간낭종과 간내담관 낭성종양의 혈청 및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CA19-9 의의

Significances of Serum Level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 of CA19-9 in Simple Hepatic Cysts and Intrahepatic Biliary Cystic Neoplasms

  • 0
커버이미지 없음

Background/Aims: In spite of various diagnostic modalites, biliary cystic neoplasms (biliary cystadenoma and cystadenocarcinoma) remain to be difficult to diagnose preoperatively. Recently, there are some reports that elevated CA19-9 level in serum and/or cystic fluid could be a useful finding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biliary cystic neoplasm.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CA19-9 and to elucidate its significances in intrahepatic biliary cystic neoplasms and simple hepatic cysts. Methods: In 8 patients with biliary cystic neoplasms and 6 simple hepatic cysts, symptoms, radiologic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5 biliary cystic neoplasms (4 bililary cystadenomas, 1 biliary cystadenocarcinoma) and 5 simple hepatic cyst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s for CA19-9 were performed with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s. Results: In 8 biliary cystic neoplasms, two cases were suspected as biliary cystadenoma preoperatively and 6 cases could not be distinguished from simple cysts or cholangiocarcinoma preoperatively. In 6 simple hepatic cysts, 3 cases were diagnosed preoperatively and 3 cases could not be distinguished from biliary cystadenoma or pancreatic pseudocyst preoperatively. Expression of CA19-9 in simple hepatic cysts and biliary cystic neoplasms were 80% in both groups. Expression of CA19-9 is not related to the elevated level of CA19-9 in serum. Conclusions: Our data suggests that the elevated level of CA19-9 in serum may not be helpful in the preoprative diagnosis of biliary cystic neoplasm.

목적: 간내 낭성 병변은 영상 진단 기술의 발전으로 진단율이 향상되고 있지만, 수술 전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다. 최근 종양표지자 중 하나인 CA19-9이 이들 낭성 종양의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된다. 이에 간내 낭성 병변으로 수술 절제를 시행하여 단순 간낭종과 간내담관 낭성종양으로 진단되었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 소견, 방사선 소견, 검사실 소견으로 수술 전과 후 진단을 비교하였다. 특히 혈청 CA19-9와 CA19-9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하여 CA19-9의 임상 의의를 알아보고자 이번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2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에서 수술하여 간내담관 낭성종양으로 판명되었던 8예(담관낭선종 7예, 담관낭선암 1예)와 단순 낭종으로 판명되었던 6예에 대한 임상 소견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조직을 구할 수 있었던 간내담관 낭성종양 5예(담관낭선종 4예, 담관낭선암 1예)와 단순 낭종 5예는 CA19-9의 발현을 보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양성은 관찰되는 병변 세포들 중 적갈색의 과립이 10% 이상에서 염색되는 경우로 하였다. 결과: 임상 소견에서 담관 낭성종양 8예 중 2예에서만 수술 전 담관낭선종으로 의심하여 수술 후 확진되었으나, 7예에서는 수술 전에 담관낭선종과 단순 간낭종과의 감별이 어려웠다. 단순 간낭종 6예 중 3예는 수술 전 진단이 가능하였으나, 3예는 담관낭선종과 췌장가성낭종과의 감별이 어려워 수술 후 진단이 가능하였다.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이용한 CA19-9 발현에서는 단순 낭종과 낭성종양군 각각 80%에서 양성을 보였다. 혈청 CA19-9의 정도와 CA19-9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 발현 유무가 일치하지는 않았다. 결론: 간내 낭성 병변들의 감별 진단에 있어 CA19-9 검사는 제한적이며, 복부 초음파검사나 복부전산화단층촬영에서 단순 간낭종과 낭성종양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에는 확진과 치료를 위하여 수술 절제가 필요하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