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dern learner requires a practical capacity can be re-created through new language and the ability to interpret information and knowledge through various media. To this end,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troduced the stories of scientists, the history of science, and the topicality of science in order to raise curiosity and interest in science. In addition, its purpose was to cultivate scientific thinking, crea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discussion and science wri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orytelling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s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scientific thinking, and a greater interest in science class. We have developed a storytelling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through research reviews of narratives, stories, storytelling, and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We have combined the three stages of storytelling based on an instructional model and the process of the six stages of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This teaching-learning method is composed of storytelling before activities focusing on stories, storytelling activities progressing through narrative and inquiry among students, and storytelling follow-up activities receiving feedback on the activities of the whole class. This model includes activities to complete the group’s story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the class and the activities involved in the storytelling. With respect to the stories to be completed in class, there are: the ‘Background story’, related to problem recognition; the ‘Solving story’, related to problem solving; and the ‘Reflection story’, which reflects on the entire lesson. We then developed a storytelling program which is based on the stories of scientists (Galileo Galilei, Sir Isaac Newton, and Michael Faraday). The participants were twenty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class, favorite science-related career, and gender difference awareness in science all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at the 5 percent significance level. Through interviews, we found that the students developed an increased interest in scientists and experienced a narrative between the students and the argument processes of the scientists. A storytelling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is therefore a way to enhance interest, inquiry, writing, discussion, argument, and narrative; it’s applicability in schools is high.
현대의 학습자는 다양한 매체를 통한 지식과 정보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과 새로운 언어로 재창조할 수 있는 실천적 능력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높일 수 있도록 과학자 이야기, 과학사, 시사성 있는 과학 내용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과학 글쓰기와 토론을 통하여 과학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및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과학 수업의 흥미, 과학적 사고력과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으로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내러티브, 스토리, 스토리텔링, 탐구적 과학글쓰기 등의 문헌 연구를 통해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탐구적 과학글쓰기의 6단계 과정을 스토리텔링 기반 학습 모형의 3단계와 결합하였다. 이 교수‧학습 방법은 스토리 중심의 스토리텔링 전 활동, 학습자들 간의 내러티브와 탐구가 진행되는 스토리텔링 본 활동, 수업 전체 활동에 대해 피드백을 받는 스토리텔링 후 활동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업 전 과정을 모둠별 스토리로 완성하는 활동과 이를 스토리텔링하는 활동이 포함된다. 수업 중에 완성하는 스토리는 문제 인식과 관련된 배경스토리, 문제 해결과 관련된 해결스토리, 수업 전 과정을 반성하는 반성스토리가 있다. 다음으로 과학자 스토리(갈릴레이, 뉴턴, 패러데이)를 기반으로 하는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영재학생 20명에게 적용하였더니, 과학 수업의 흥미, 과학 관련 직업의 선호, 과학에 대한 성차 인식이 유의수준 5%에서 의미 있는 향상이 있었다. 면담을 통해, 학생들은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수업을 통해 과학자의 논증 과정과 학생들 간의 내러티브를 경험하였고, 과학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방법은 흥미, 탐구, 글쓰기, 토론, 논증, 내러티브 등을 경험할 수 있고, 현장적용성이 높은 교수‧학습 방법이 될 수 있다.
(0)
(0)